부산국제영화제에서 느낀 소통의 기쁨[이즈미의 한국 블로그]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2021. 10. 22. 03: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레이션 권기령 기자 beanoil@donga.com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해마다 가을이면 눈부신 해변과 파란 하늘, 그리고 영화를 보기 위해 부산을 찾았다. 넘실대는 파도를 배경으로 영화인과 관객들이 한자리에서 만나는 영화 축제가 벌어지기 때문이다. 올해는 2년 만에 부산국제영화제에 갔다. 10월마다 부산국제영화제를 찾은 지 20년이 훌쩍 넘었는데, 지난해 가을에는 코로나19로 찾지 못했다.

올해도 코로나로 행사 대부분을 온라인으로 접했고, 일본이나 해외에서 찾아온 영화인들을 만나는 시간 대신 영화제 기간에 주로 혼자 영화를 보며 지냈다. 그래도 폐막작 기자 시사를 포함해 국내에서 보기 어려운 아시아영화를 중심으로 6편의 작품을 봤고, 이어 서울에 올라와서도 온라인 시사를 통해 4편을 더 관람해 무척 흐뭇했다. 특히 일요일 밤 영화의 전당 야외상영관에서 일본 청춘영화 ‘도쿄 리벤저스’를 지인들과 보고, 함께 웃으며 오랜만에 해방감을 느꼈다. 영화의 전당이 주는 압도적인 분위기에 부산국제영화제가 살아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어 감격스러웠다.

거장 감독의 신작이나 화제작 중 감독이나 배우가 영화를 직접 소개하고 관객과 만나는 갈라프레젠테이션 부문에 초청된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영화 ‘드라이브 마이 카’를 보고나서는 두고두고 머릿속에 ‘소통이란 무엇인가?’라는 생각이 맴돌았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동명 단편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올해 칸 국제영화제 각본상을 받은 작품이다. 3시간이라는 상영시간이 길게 느껴질 틈도 없이 작품에 몰입했다.

영화는 부인과 사별한 아픔을 안고 사는 배우이자 연출가인 주인공 가후쿠(니시지마 히데토시)가 히로시마에서 진행되는 연극제에서 체호프의 대표작 중 하나인 ‘바냐 아저씨’의 연출을 맡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영화 중 연극의 오디션 장면에서, 배우들이 감정을 없애고 대사를 읽는 연습 장면도 독특하지만, 아시아 여러 나라의 배우들이 참여해 각자 다른 언어로 ‘바냐 아저씨’를 연기하는 모습이 더욱 기묘한 느낌을 자아냈다.

같은 언어를 사용해도 소통하기 어려운데 여기서는 전혀 다른 언어를 주고받으며 소통이 이루어진다. 심지어 수화를 구사하는 한국인 배우도 등장한다. 음성언어가 아닌 수화의 감정연기가 내게 가장 인상을 남기며 어느새 언어의 장벽은 훌쩍 사라지고, 작품에 통째로 설득당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36년 전 내가 처음 한국에 왔을 때, 나는 말 못하는 아기가 된 것 같았다. 그러다가 조금씩 언어를 학습하면서 기본적인 의사를 전달할 수 있게 됐다. 반드시 언어를 통해서만 소통을 하는 것이 아니기에 많이 능숙해졌다곤 하지만 사실 지금도 사람들과의 소통은 무척 서투르고 어렵다.

하마구치 감독은 부산영화제를 직접 찾아 봉준호 감독과 대담도 했다. 당시 봉 감독이 돌아가신 아버지와의 기억으로 “아버지가 자녀와 마주 보고 대화를 잘 안 하셨는데, 운전석에 앉으면 그렇게 말을 잘 하셨다. 서로 마주 보지 않고 한 방향을 보면 말을 잘 하셨던 것 같다”며 ‘소통의 방식’에 대한 추억을 들려줬는데, 이 영화 속의 소통과도 교차됐다. 아시아 영화를 이끌어 가는 두 감독이 나눈 두 시간의 짧은 대담 또한 코로나 속에서 실현된 기적 같은 소통의 시도였다. 하마구치 감독은 “코로나가 아니었으면 ‘영화의 전당’을 ‘연극의 전당’으로 설정하고 부산에서 연극제가 열린다는 설정으로 영화를 부산에서 찍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장소) 헌팅도 다 마쳤으니, 언젠가 여기(부산)에서 영화를 찍을 것”이라고 했다. 부산의 영화인뿐 아니라 한국의 영화인들을 설레게 하는 대목이었다.

나는 짧은 기간이지만 소통하는 기쁨을 누렸다. 상영관에서 그동안 일상에서 만나지 못했던 영화인들과 인사하며 서로의 안부를 나눌 수 있었다. 동시에 영화제를 둘러싼 몇 년간의 정치적인 논란에서 벗어나 분위기가 밝아졌다는 것도 느꼈다. 마치 아픔이 우리의 관계를 리셋 해준 것처럼. 우리가 음식을 함께 나누거나 술을 마시지는 않았지만 앞으로도 영화를 통한 소통은 계속될 것이고, 코로나를 극복한 뒤에는 더 많은 작품들, 더 많은 영화인들이 찾아와 나누는 소통을 통해 더 풍성한 영화제가 될 것을 기대한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