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동향] 김장김치에도 기후변화 정책이 필요하다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 피해 커
온실가스 감축 실천 노력 함께
기후변화 적응정책도 마련해야
갑자기 겨울이다. 아직 단풍물도 들지 못한 푸른 잎이 낙엽이 되어 거리를 뒹굴고 있다. 이번 가을은 유난히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가 롤러코스터를 타듯이 오르내린 탓이다. 서울에 올해 첫 한파주의보가 내린 다음 날인 18일 탄소중립위원회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18년 총배출량 대비 40%를 감축하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의결했다. 이에 산업계와 환경단체 등은 서로 다른 우려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미국 행정부의 경우 14일 ‘기후 탄력적 경제를 건설하기 위한 로드맵’을 공개했다. 이번 로드맵은 기후 관련 위험을 ‘극심한 날씨로 인한 물리적 위험’과 ‘탈탄소 전환과정에서의 위험’이라는 두 가지 범주로 정의했다. 바이든 정부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을 ‘측정, 공개, 관리 및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자국민을 기후 관련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에 대해 다뤘는데, 개인이 기후 리스크로 인한 비용 증대를 체감할 수 있는 영역으로 주택 시장, 보험 및 은퇴 자금을 꼽았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노동부는 13일 퇴직연금 개정안을 발표하며, 여기에 저축자산과 연금을 기후 관련 금융위기로부터 보호하는 금융안전 세이프가드 정책을 담았다.
한편, 송도에 위치한 녹색기후기금(GCF) 또한 기후변화 적응 정책에 자금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GCF는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는 기후 변화 관련 국제금융기구이다. 지난 9월 GCF는 향후 기후기금 운용 포트폴리오에 있어 기후변화 완화(감축)와 적응 사이의 할당을 50대 50으로 가져가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최근 한 토론회에서 GCF 관계자는 실제 필요한 수요에 비해 기후변화 적응 분야의 투자가 크게 못 미치는 점을 우려하며, 민간 금융 투자의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얼마 전 발표된 통계청 자료는 우리나라 고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하던데, 기후변화는 이를 심화시킬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요소를 개인이 감내해야 할 불행으로 치부하고 있다. 이러한 불행이 눈덩이처럼 불어 2030년, 2050년이 되기도 전에 우리는 또 다른 위험에 처할지도 모른다. 눈앞의 상황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지현영 사단법인 두루 변호사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