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환일 교수 "우주강국 되려면 누리호 개량 R&D·우주전담기구 수립 필요"

고광본 선임기자 2021. 10. 21. 22: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형 발사체(누리호)의 첫 시험비행이 절반 이상 성공했다고 봅니다. 내년 5월 2차 발사 때는 성공을 기대합니다. 하지만 아직 누리호 개량을 위한 정부 계획이 수립돼 있지 않고 우주 전담 기구도 없는데 이 문제를 해결해야 우주 강국으로 갈 수 있습니다."

허환일(59·사진)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21일 누리호 발사 뒤 서울경제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누리호가 1.5톤의 위성 모사체를 목표인 700㎞ 고도까지 올린 것은 기술적 난제를 상당 부분 해결한 고무적 결과"라며 이같이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허환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추가 발사 남았는데 후속 모델 없어
발사체 고도화사업 예타 통과시켜야"
허환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서울경제]

“한국형 발사체(누리호)의 첫 시험비행이 절반 이상 성공했다고 봅니다. 내년 5월 2차 발사 때는 성공을 기대합니다. 하지만 아직 누리호 개량을 위한 정부 계획이 수립돼 있지 않고 우주 전담 기구도 없는데 이 문제를 해결해야 우주 강국으로 갈 수 있습니다.”

허환일(59·사진)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21일 누리호 발사 뒤 서울경제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누리호가 1.5톤의 위성 모사체를 목표인 700㎞ 고도까지 올린 것은 기술적 난제를 상당 부분 해결한 고무적 결과”라며 이같이 밝혔다. 허 교수는 국가우주위원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 한국형 발사체 개발 사업 예비타당성 검토위원 등을 지낸 뒤 지난 2017년 수립한 제3차 국가우주개발진흥계획 발사체분과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이날 누리호는 1.5톤 위성 모사체를 목표인 700㎞ 고도에 쏘아 올리기는 했으나 위성의 궤도 안착을 위한 초당 7.5㎞의 속도를 내지 못했다. 그는 “왜 3단 엔진이 50초가량 일찍 연소가 종료됐는지를 파악하면 내년 5월 2차 시험 발사에서는 확실하게 기술의 진보와 성공을 이룰 것”이라며 “이후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누리호를 추가로 네 번 더 발사하기로 했는데, 아쉬운 것은 누리호 후속 모델에 대한 계획이 수립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날 발사를 포함해 현재의 조건에서 7년에 걸쳐 누리호를 총 여섯 번 발사할 예정이지만 누리호 개량 모델의 연구개발(R&D) 계획은 잡혀 있지 않다. 8월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누리호 개량을 위한 예산이 전액 삭감됐기 때문이다.

허 교수는 “문재인 대통령이 누리호 발사 후 ‘누리호뿐 아니라 다양한 발사체 개발에 힘쓰겠다’고 밝혔다”며 “정부도 누리호 개량형 모델 개발을 위한 예타를 새로 수립해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2030년 달 착륙선 발사에 우리 발사체를 활용하겠다고 했는데 현재의 누리호 성능으로는 가능할지 미지수”라며 “만약 누리호 개량 모델에 대한 예타가 내년에 통과된다면 2023년이나 2024년 개량형 모델 R&D에 돌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그는 “중국·일본에 비해 우주 발사체 분야에서 크게 뒤처져 있는 우리나라가 위성 개발뿐 아니라 발사체에서도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정치에 휘둘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우주개발을 할 수 있어야 한다”며 우주개발 전담 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