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에서 쌓아온 30년 세월..누리호는 기적의 역사
◆ 첫발 뗀 우주강국 꿈 ◆
날카로운 눈빛을 가졌던 30대 초반 젊은 연구원은 이제 백발이 성성한 60대가 됐다. 한국에서 '발사체'라는 한 우물을 팠던 그의 젊은 시절은 긴장과 두려움의 연속이었다. 1990년 첫 고체연료 로켓인 KSR-1을 개발했던 그는 2013년 나로호 발사 당시 발사 책임자로 발사지휘센터(MDC)에서 나로호가 하늘을 가르는 순간을 지켰다. 이번 누리호 발사 때는 발사관제센터(LCC)에서 발사 책임자 바로 옆에 앉았다. 나로호 때는 러시아인이 앉아 있던 자리다. 한국 발사체의 '역사'로 불리는 조광래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의 이야기다. 그는 "30년간 발사체를 개발했지만 늘 센터 안에 있었기 때문에 우리 로켓이 화염을 내뿜고 창공을 가르는 모습을 한번도 내 눈으로 본 적이 없다"며 "그래도 이 역사와 함께할 수 있어서 참 고맙다"고 밝혔다.
온전히 우리 힘으로 만든 발사체 누리호가 첫 시도에 성공하기를 누구보다 간절히 바랐지만 실패 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고 본부장은 "우주 개발은 실패를 통해 얻는 것이 많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사체는 큰 예산이 투입되는 작업이고 한 번의 실패가 큰 손해로 이어질 수 있어 성공을 향한 염원보다 부담이 더 컸던 것도 사실이다. 고 본부장은 "데드라인이 정해져 있다 보니 늘 일정에 쫓기듯 개발해야 했는데 문제가 생기면 일정이 지연되고 거기에 대한 비판도 크기 때문에 솔직히 힘들었다"고 털어놨다. 그 부담감이 얼마나 컸던지 30년을 발사체 개발에 매달려 이 분야에서 최고의 베테랑으로 불렸던 조 전 원장마저도 공황장애라는 지병을 얻었을 정도다.
그렇게 힘들어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로켓밖에 없다'는 생각으로 연구에 매달리고 또 매달렸다. 이 과정을 '축적의 시간'이라고 부른다. 시간이 쌓이면서 기술 축적과 경험 축적이 이뤄지고 이 결과는 첫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로 이어졌다.
조 전 원장은 "나로호와 누리호 사이 10년간 우리가 많은 경험을 해서 그런지 모르는 게 더 많이 보이기 시작했다"며 "나로호 당시에는 '내가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조차 모르는' 상황에서 오는 막연한 불안감이 있었는데, 이제는 우리 손으로 설계하고 만들고 조립해서 실험까지 마치고 나니 눈을 감으면 로켓이라는 것에 대해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그림이 그려진다"고 말했다. 고 본부장은 "발사라는 이정표를 향해 달려가는 과정에서 부품이 제작 도중 깨지는 등 다양한 사고들이 수없이 일어났다"면서 "그럼에도 평정심을 잃지 않고 함께해준 연구원과 기업들의 노력이 쌓여 여기까지 온 것 같다"고 밝혔다. 두 사람은 "발사는 성공적으로 이뤄졌지만 궤도 안착에 실패해 결과적으로 미완의 성공이 됐다. 궤도 안착까지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더욱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새봄 기자 / 송경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막판 연소부족에 궤도진입 못했지만…발사 핵심기술 확보 `쾌거`
- `미완의 성공` 한국 우주 강국 향한 첫 걸음 뗐다. /핫이슈/ 매일경제 에브리데이
- `우리 힘으로` 우주강국 첫발 뗐다
- [포토] 첫 독자개발 누리호 발사 성공…7대 우주강국 도약
- 12년간 국내기업 300곳 참여…민간 우주산업시대 열린다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