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먼컴퓨터, 120억 규모 시리즈B 투자 마무리

방은주 기자 2021. 10. 21. 16: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블록체인 클라우드 기업 커먼컴퓨터가 2년 만에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커먼컴퓨터(대표 김민현)는 12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고 21일 밝혔다.

커먼컴퓨터는 앞서 2019년 9월 시리즈A 투자 단계에서 30억원을 조달했다.

커먼컴퓨터는 이런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규모 컴퓨팅 자원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존 투자자 KB인베스트먼트와 신규 투자 포스코기술투자 등 5곳이 참여

(지디넷코리아=방은주 기자)블록체인 클라우드 기업 커먼컴퓨터가 2년 만에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커먼컴퓨터(대표 김민현)는 12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고 21일 밝혔다. 투자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상환전환우선주(RCPS) 신주를 발행하는 형태다.

이번에 투자를 결정한 벤처캐피탈은 KB인베스트먼트, HB인베스트먼트, 포스코기술투자, 케이투인베스트먼트, 나우아이비캐피탈 등 5곳이다. 기존 투자자인 KB인베스트먼트와 HB인베스트먼트가 후속 투자를 했다. 또 포스코기술투자와 케이투인베스트먼트, 나우아이비캐피탈는 신규 투자자로 합류한다. 또 이번 라운드에는 김상헌 네이버 전 대표, 황성현 카카오 전 부사장, 박재현 람다256 대표, 김휘상 Hashed 전 투자 총괄이 개인 투자자로 참여했다.

김민현 커먼컴퓨터 대표

커먼컴퓨터가 외부 자금을 유치한 건 2년 만이다. 커먼컴퓨터는 앞서 2019년 9월 시리즈A 투자 단계에서 30억원을 조달했다. 이 때 KB인베스트먼트를 필두로 HB인베스트먼트, 하나벤처스, 액세스벤처스가 초기 투자자로 참여했다. 이 가운데 액세스벤처스는 시드(Seed) 투자에 이어 후속 투자를 했다.

2018년 설립된 커먼컴퓨터는 구글과 네이버 출신 개발자들이 창업했다. 규모가 크지 않은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사들이 적은 비용으로 접근할 수 있는 'AI 공유 네트워크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포부로 출발했다.

AI를 개발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막대한 규모의 컴퓨팅 인프라가 필요하다. 또 이를 다룰 전문인력도 있어야 한다. 최근엔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대기업들이 제공하는 공개 소프트웨어(open source)로 부담이 줄었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선 여전히 시간과 비용 부담이 큰 편이다. 커먼컴퓨터는 이런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규모 컴퓨팅 자원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했다. 그 결과물 중 하나가 블록체인 테스트넷인 'AI 네트워크(AI Network)'와 AI as a Service 플랫폼인 '아이나이즈(Ainize)'다. 현재 커먼컴퓨터는 300여개의 GPU를 AI 네트워크 상에서 운영하고 있다. 국내 스타트업 중 보기 드문 규모다. 시리즈 B 라운드 이후에는 세계적 AI 업체들과 비교해 손색이 없을 정도의 자원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아이나이즈'는 사용자가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연산 자원과 프로그램을 공유 네트워크에서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결제하는 형태다. 또 아이나이즈 워크스페이스를 통해 구글의 Colab과 같은 GPU 개발 환경을 월 9900원에 제공하고 있다. 중소기업 입장에선 부담없는 구독료 결제만으로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대규모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김민현 커먼컴퓨터 대표는 "우리가 개발한 AI 네트워크는 세계적으로도 몇 안되는 완성도 높은 AI와 블록체인의 융합 기술"이라며 "연말 메인넷이 출시 되면 메타버스와 같은 신성장 산업에서도 큰 주목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AI 네트워크를 통해 모두의 인터넷 상에서 누구나 AI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면서 "글로벌 엔지니어들이 자원 걱정 없이 오픈 네트워크에서 대규모 AI 개발을 위한 협력을 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방은주 기자(ejbang@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