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헝다 디폴트 우려에 상승..1,177.2원 마감

김유아 2021. 10. 21. 15: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1일 원/달러 환율이 다시 상승 마감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3.0원 오른 달러당 1,177.2원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은 1.3원 오른 1,175.5원에 개장해 1,173.2원까지 내려갔다가 오후 들어 우상향했다.

오후 3시 30분 현재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1,032.45원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21일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습. 2021.10.21 xyz@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유아 기자 = 21일 원/달러 환율이 다시 상승 마감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3.0원 오른 달러당 1,177.2원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은 1.3원 오른 1,175.5원에 개장해 1,173.2원까지 내려갔다가 오후 들어 우상향했다.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 그룹의 공식 디폴트(채무불이행)가 선언될 가능성이 짙어지면서 시장의 불안 역시 커진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헝다는 3조원에 달하는 자회사 헝다물업(物業) 지분 50.1%를 매각해 유동성 위기를 넘겨보려 했으나 협상은 무산됐다.

헝다가 오는 23일까지 달러화 채권 이자를 상환하지 못하면 공식 디폴트가 선언된다.

이 외에도 다른 두 채권의 이자 지급 유예기간이 차례로 도래하는데, 한 채권의 공식 디폴트가 선언되면 다른 채권 보유자들도 중도 상환을 요구할 수 있어 연쇄 디폴트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이다.

코스피는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의 순매수세에도 개인의 매도세에 밀리면서 하락 마감했다.

오후 3시 30분 현재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1,032.45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1,025.46원)에서 6.99원 올랐다.

kua@yna.co.kr

☞ 강원 화천 파로호 선착장서 30대 남매 숨진 채…
☞ 이다영, 그리스 데뷔전서 수훈 인터뷰…"도와준 팀원 감사"
☞ '낙태 종용' 폭로 김선호 전 연인, 신상유포·신변위협 피해
☞ 이재명 책상에 발 올리고 엄지척…'조폭이냐, 영어강사냐'
☞ "백신 맞고 디스크 파열"…80여명 눈물의 호소
☞ "저는 아동학대 생존자"…'가십걸' 패리스 힐튼의 폭로
☞ 최강 美해군?…소방버튼 못눌러 1조원 군함 홀랑 태웠다
☞ 말레이 9자녀 둔 싱글맘, 마약소지로 사형선고…찬반 논쟁
☞ 새벽인데도 산다더니…명품시계 차고 튄 '당근' 구매자
☞ 대낮 만취 음주운전 개그맨 설명근 결국 검찰로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