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클라우드 전환 마친 LG CNS.."전세계 항공사 첫 사례"
LG CNS가 대한항공의 전사 IT시스템을 AWS(아마존웹서비스) 퍼블릭 클라우드(가상서버)로 100% 전환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2018년 11월 대한항공과 클라우드 전환 업무 계약을 체결한지 3년 만에 전환 작업을 모두 마친 것이다. LG CNS 측은 “대한항공이 전사 IT시스템을 퍼블릭 클라우드로 전환한 것은 글로벌 대형 항공사 중 첫 사례”라고 밝혔다.
이번 클라우드 전환 완료로 LG CNS는 ‘MSP(Managed Service Provider·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사업자로서 경쟁력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MSP는 클라우드 경험이 없는 고객 기업들의 클라우드 전환 및 운영 사업을 수행하는 업체를 말한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MSP는 고객사 시스템을 CSP 클라우드로 안정적으로 이관하고,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LG CNS는 “대한항공이 다른 글로벌 항공사들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한발 앞서 준비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DX)을 지원하며,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 큰 실적을 남겼다”고 밝혔다. LG CNS는 서비스 가용성 확보를 위해 대한항공 전체 IT시스템을 물리적으로 분리된 2개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이중화했다. 한 곳의 클라우드에 장애가 발생해도 이중화된 클라우드에서 즉시 동일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국내에 재해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해외에 재해복구 클라우드도 구축했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국의 대량 살상 총격 사건에 자주 등장하는 소총, 사실은...
- SK온, 신규 자금 3757억원 조달
- 은퇴 앞둔 남자 농구 양희종 “통합우승으로 팬들 사랑 돌려 드리겠다”
- 쇼호스트 욕설 방송... 방심위 “귀신 씌었나” 홈쇼핑 법정제재
- [오늘의 운세] 3월 29일 수요일(윤달 2월 8일 丙戌)
- 이승찬 계룡건설 회장 취임…“신뢰받는 기업으로 키울 것”
- “돈 벌게 해준다”...지인 속여 35억 가로챈 부부 사기단 기소
- 보령, 美 액시엄스페이스와 우주사업 추진 위한 JV 설립 협약
- ‘난방비 폭탄’에 사용 줄었다...2월 요금 가구당 3만7100원 감소
- 조민 “포르쉐? 10년간 아반떼 탔다… 가세연 처벌해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