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광모의 통 큰 약속 "3년간 청년 3만명 뽑겠다"

문혜정 2021. 10. 21. 14: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구광모 LG 회장이 21일 김부겸 국무총리와 만나 앞으로 3년간 청년 3만명을 직접 고용하는 내용의 청년 채용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청년희망ON' 프로젝트의 세 번째 주자로서 LG가 동참을 선언한 것이다.

국무총리실과 LG그룹은 이날 '청년희망 ON' 프로젝트 파트너십을 맺고 간담회를 열었다.

국무총리실이 주관하는 '청년희망 ON'은 기업이 청년을 교육·채용하면 정부가 일부 교육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1일 김부겸 총리 만나 '청년희망ON' 프로젝트 참여 발표
사진=한경 DB


구광모 LG 회장이 21일 김부겸 국무총리와 만나 앞으로 3년간 청년 3만명을 직접 고용하는 내용의 청년 채용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청년희망ON' 프로젝트의 세 번째 주자로서 LG가 동참을 선언한 것이다.

국무총리실과 LG그룹은 이날 ‘청년희망 ON’ 프로젝트 파트너십을 맺고 간담회를 열었다. 김 총리가 서울 강서구 소재 'LG사이언스파크'를 찾았고, 구 회장이 김 총리를 맞았다. 국무총리실이 주관하는 ‘청년희망 ON’은 기업이 청년을 교육·채용하면 정부가 일부 교육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앞서 KT와 삼성전자가 각각 1만2000명과 3만명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LG그룹은 앞으로 연간 1만명씩, 3년간 3만명을 직접 고용하는 것을 포함해 총 3만9000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내겠다고 약속했다. 올해 LG전자 휴대전화 단말기 사업을 중단하고 LX그룹을 분리하는 등 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채용 직원수를 약 10% 확대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LG는 직접 채용 이외에도 산업 생태계를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LG커넥트'(유망 청년 창업가 발굴 대회), ’오픈랩'(유망 스타트업 육성·지원 프로그램) 등 스타트업 분야에 1500억원을 투자해 3년간 약 2000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낼 계획이다. 

대학들과 산학연계로 맞춤형 교육과 현장 실무를 강화하는 ’채용계약학과'도 확대한다. 기존 소소프트웨어(SW), 광학, 스마트융합 분야뿐만 아니라 배터리와 인공지능(AI) 전공까지 전공학과를 다양화한다.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ESG 프로그램인 ’LG 소셜캠퍼스‘와 지역 청년 혁신가를 키우는 ’로컬밸류업프로그램‘ 등을 강화해 1200개 청년 일자리도 창출할 계획이다. 기존 대비 약 3000개의 일자리를 더 만들어 총 9000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치솟은 집값과 극심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2030 MZ세대들에게 희망을 주겠다는 의도로 추진된 이 프로젝트의 ‘ON’은 ‘따뜻한 온(溫)’ 혹은 ‘On-Going(진행 중인)’에서 가져왔다. 따뜻한 일자리, 청년들의 희망이 계속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날 김 총리는 LG그룹의 간담회에서 "총리직을 맡으면서 ‘일자리를 비롯한 청년들의 고민을 조금이라도 덜어야 한다’는 절박감으로 청년일자리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LG에 감사드린다"며 "기업과 정부가 함께 힘을 모아 청년 일자리를 늘리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해보자”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또 LG사이언스파크에 처음 방문했다며 "이 건물에 들어온 건 오늘이 처음인데 정말 대단하다"며 "멋진 공간에 대한 디자인이나 이런 부분들이, 저희 아날로그 세대로는 짐작키도 어려운, 이제는 정말 신인류의, 신문명의 시대가 오나보다, 그런 생각을 해 본다"고 소감을 밝혔다.

구광모 회장도 "기업인의 한 사람으로서 기업의 가장 중요한 소임은 일자리 창출이라고 생각한다"며 "미래 첨단 분야에 앞서서 투자하고 이를 통해 좋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나감으로써 기업의 역할을 다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구 회장은 "이를 위해서는 기업뿐만 아니고 학계나 중소기업, 협력업체, 그리고 청년 스타트업이 함께 참여하는 산업 생태계를 육성해서 함께 성장해 나가면서 일자리를 더해가는 선순환 구조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