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안 쓰는 지하수 우물 5곳 중 1곳 방치.."오염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군이 지하수 사용을 위해 만든 관정(우물) 5개 중 1개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데도 방치해 지하수 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1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육해공군 등 각 군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9월 기준으로 군이 관리하는 지하수 관정은 총 1573개다.
육군의 지하수 관정 1197개 가운데 불용공은 365개, 이 중 폐공 처리가 진행 중인 것은 40개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장용석 기자 = 군이 지하수 사용을 위해 만든 관정(우물) 5개 중 1개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데도 방치해 지하수 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1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육해공군 등 각 군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9월 기준으로 군이 관리하는 지하수 관정은 총 1573개다. 군은 이 가운데 396개 관정에 대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불용공'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군은 이들 불용공 중 71개만 폐공(廢孔) 처리를 진행 중이고, 나머지 325개(20.6%)는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게 김 의원의 지적이다.
아직 폐공 처리가 진행되지 않은 지하수 관정은 모두 육군이 관리하는 것들로 파악됐다. 육군의 지하수 관정 1197개 가운데 불용공은 365개, 이 중 폐공 처리가 진행 중인 것은 40개였다.
김 의원은 "지하수 관정 불용공은 부대 이전이나 상수도 보급, 수질 악화 등의 사유로 발생한다"며 "불용공을 신속히 폐공 처리하지 않으면 지표의 오염물질이 지하로 흘러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군이 올 2분기 실시한 '군용 먹는 물 수질검사' 결과를 보면 육군은 검사를 실시한 군용수도(지하수) 495개소 가운데 20개소, 해군·해병대는 122개소 중 8개소, 공군은 181개소 중 4개소가 각각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ys417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모태 솔로라던 아내, 매달 2박 3일 연수…10년 전 두고 온 아들 만났다"
- "비현실적 외모, AI 아니야?"…中 발칵 뒤집은 여대생 미모 화제
- 상간녀 집에 몰카 설치 불륜 장면 생중계…아내의 응징, 처벌은?
- "입사 3일 만에 결혼 알리자 퇴사하라는 회사…사유는 '부적응'" 황당
- '최장 6일 황금연휴' 5월 2일 임시공휴일 될까…"빨리 지정" vs "누굴 위해?"
- 공사장서 추락해 '하반신 마비'…10억 달라는 직원, 식당 가선 '벌떡'[영상]
- "하나만 피우고 갈게"…사람 죽인 미아역 난동 30대, 경찰에 반말
- '벌거벗고 껴안은 남녀'…기안84, BTS 진에 누드화 선물 의미는?
- '6월 결혼' 최여진, 예비신랑·전처와 한집살이? 사이비종교? "아냐" 직접 반박
- 쥬얼리 출신 조민아, 전국 1위 보험왕 됐다 "앞으로도 오래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