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살 능력은 없고 월세는 오르고"..주택도 '공동구매'하는 美 MZ세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가 친구·동료들과 함께 생애 첫 집을 공동 구매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미 MZ 세대가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반면, 친구나 동료와의 애착은 높아지면서 이들과 집을 공동 소유해 함께 사는 것에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WSJ는 이와 관련해 "연인보다 관계 파탄의 위험이 적은 친구와 집을 공동 구매하려는 욕구가 높다"고 덧붙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가 친구·동료들과 함께 생애 첫 집을 공동 구매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따르면 젊은 층 사이에서 지인 여럿이 모여 집의 지분을 나눠 구매하고, 함께 살며 공간도 공유하는 형태를 선호하고 있다는 것. 본인 소유의 집에서 안정을 찾고 싶은 욕구는 커지는 반면, 매년 치솟는 월세(렌트)에 대학 학자금 빚까지 갚느라 허덕이면서 혼자서는 집을 살 형편이 안 되자 나온 고육책이다.
WSJ는 부동산 통계 회사의 최신 자료를 인용해 부부 등 가족 관계가 아닌 이들의 미 전역 주택·아파트 공동 구매 건수는 지난 2014년에 비해 올해 8배 가까이(771%) 폭증했다고 전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이런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것.
통상 2~4명이 집을 나눠 사는데, 나중에 자신의 지분만 처분하거나 가족에게 상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주택 관리나 향후 처분 조건 등을 두고 구매자끼리 분쟁이 생기는 경우가 잦아, 부동산 본 계약과 별도로 공동 구매자들 간의 계약서 작성도 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미국에선 코로나 팬데믹으로 재택근무가 보편화되면서 큰 주택 수요는 늘지만 매물이 부족해 값이 치솟고 있다. 특히 렌트비는 매매가보다 더 큰 폭으로 오르고 있어, 뉴욕시 일대 렌트의 경우 1년 전보다도 약 20% 오른 실정이다. 월세가 보편화된 미국에서도 이런 렌트비 상승은 서민층과 젊은이들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주택 구매 욕구를 더 자극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 주택 구매의 계기가 되는 결혼 건수는 줄고 있다. 미 MZ 세대가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반면, 친구나 동료와의 애착은 높아지면서 이들과 집을 공동 소유해 함께 사는 것에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WSJ는 이와 관련해 “연인보다 관계 파탄의 위험이 적은 친구와 집을 공동 구매하려는 욕구가 높다”고 덧붙였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르포] "제대로 씻지도 못하는데…" 호남 땅이 메마른다
- 尹대통령의 '깜짝 시구'… 신고 나온 韓 토종 운동화는?
- [오늘의 와인]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온다’ BTS의 와인, 우마니론끼 펠라고
- ‘채권 같은 주식’ RCPS 활용해 모험투자 늘리는 미래에셋... 스튜디오미르로 대박
- 제2 n번방 수사에 등장한 '귀요미'… 국내도 가능할까?
- 4월엔 에코프로 팔고 이 종목 담아야… 증권사 추천 종목 살펴보니
- 다른 계열사는 주가부양책 ‘폭탄’에 함박웃음인데... 속타는 SK텔레콤 주주들
- “아파트 수영장, 관리비만 비싸요” 조합·입주민 만류하는 건설사들
- 황영웅 '폭행 논란' 계속… "길에서도 목 조르며 때렸다"
- 전두환 손자, 5·18 단체 만나 큰절… “더 일찍 사죄하지 못해 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