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의 世說新語] [645] 뒷간거리의 가무락조개
백석 시 ‘가무락조개’는 모시조개의 다른 이름이다. 시는 “가무락조개 난 뒷간거리에 빚을 얻으려 나는 왔다”로 시작된다. 빚을 못 얻고 되돌아오는 길, 팔리지 않은 채 그대로 놓인 뒷골목 시장의 가무락조개를 보며 시인은 “가무래기도 나도 모두 춥다”고 했다.
그다음 구절이 이상하다. “추운 거리의 그도 추운 능당 쪽을 걸어가며 내 마음은 우쭐댄다. 그 무슨 기쁨에 우쭐댄다.” 여기서 갑자기 툭 튀어나온 ‘그’가 시의 바른 해독을 방해한다. 가무래기 이야기를 하다가 ‘그’를 말했으니, 주어가 그인지 내 마음인지 파악이 어렵다. 가무락조개가 어떻게 걸어가나? 그걸 보고 내가 우쭐댈 수 있나?
찾아보니 친구에게 돈을 못 빌리고, 가무래기라는 ‘맑고 가난한’ 새 친구를 만난 판타지를 시로 만든 거라는 분석이 보인다. 맑고 가난한 친구인 조개들이 이 세상을 대신 비웃어 주며 세상을 욕하는 판타지라고도 했다. 텍스트 분석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이 시를 나눠주고 분석을 시켜 보았다. 역시 대부분 ‘그’에 걸려서 넘어진다.
“추운 거리의 그도 추운 능당 쪽을 걸어가며”는 추운 거리에 있는 그(조개)가 추운 능당 쪽을 걸어가는 게 아니라, “추운 거리, 그중에서도 추운 능당 쪽을 걸어가며”란 뜻이다. ‘그도’는 ‘그것도’나 ‘그중에서도’의 줄인 말이다. 이걸 3인칭 대명사로 해석하면 시 해석이 판타지를 넘어 코미디가 된다.
시는 이렇게 마무리된다. “이 추운 세상의 한 구석에/ 맑고 가난한 친구가 하나 있어서/ 내가 이렇게 추운 거리를 지나온 걸/ 얼마나 기뻐하며 락단하고/ 그즈런히 손깍지 벼개하고 누어서/ 이 못된 놈의 세상을 크게 크게 욕할 것이다.” 친구도 나와 똑같이 가진 게 없어 빚을 얻지는 못했다. 그런 그가 추운 거리를 지나 자신을 찾아준 내가 고맙고, 맑고 가난한 마음들을 괴롭히는 이 못된 놈의 세상이 고약하다며 나 대신 세상을 향해 욕을 해줄 것이라는 얘기다. 청빈(淸貧)은 그때나 지금이나 참 어렵다. 그래도 마음 나눌 벗이 있어서 내 마음이 우쭐댄다. 그 벗은 어디에 있나?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7NEWS] 공시가격, 10년 만에 역대 최대폭으로 하락...세 부담도 확 낮아져
- 애플페이 ‘메기’ 등장에 개선책 쏟아내는 삼성페이
- 이재명 대표직 유지… 민주당 ‘기소시 당직정지’ 예외 적용
- 이순신 장군 무패신화 깃든 남해안 따라 순례길 만든다
- 尹 “日야당이 한국 야당 설득하겠다는 말에... 부끄러웠다”
- 등록하면 ‘다람쥐’ 선물로 준다는 학원
- “아이돌이 나치 문양 옷을?”…트와이스 채영, 결국 사과
- 고교생 행세한 29세 한인, 재판서 “학창시절 안정감 느끼려”
- ‘불법 송금 수사 무마 뒷돈’ 혐의... 인천세관 간부 구속기소
- 보훈교육연구원, 평생교육진흥원과 업무협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