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트 시술 후유증 45% 줄이는 치료법 개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좁은 관상동맥을 넓히는 스텐트 시술 이후, 출혈 등 치료 후유증을 절반 가까이 떨어뜨리는 치료법이 나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장 장기육, 의정부성모병원 김찬준 교수 등은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피가 굳어서 재발하지 않도록 투여하는 항혈소판 제제 쓰는 방식을 바꾼 후 기존 치료법과 결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했다. 그 결과 새 치료법이 급성 심근경색증 후유증으로 인한 허혈 위험은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출혈 위험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심혈관계 질병 발생과 출혈 위험을 45% 줄인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 랜싯(Lancet) 최신판에 실렸다. 이 연구는 심근경색증 환자 치료의 새 지침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지난 5월 미국심장학회에 초청 발표되기도 했다.
심근경색을 일으킨 관상동맥 협착 정도가 심하면 그 자리를 넓히는 스텐트를 삽입한다. 이후 두 가지 강력한 항혈소판 요법으로 허혈 및 재발 위험을 낮추는 치료가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이를 1년간 유지하도록 권고했다. 하지만 피가 굳지 않게 하는 이런 강력한 조처로 되레 출혈 위험이 따랐다.
연구 책임자인 장기육 교수는 “스텐트 시술 후 재발 위험이 큰 한 달이 지난 후에는 항혈소판제 투여 강도를 낮췄더니 재발은 늘지 않고 출혈은 적었다는 것을 입증했다”며 “심근경색증 환자들이 부담은 적고 좀 더 안전한 치료를 받게 되리라 본다”고 말했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맘카페 회원 돈 수백억 가로챈 운영자 구속
- 돌고래 스파이부터, 첩보 특전사 고양이까지… 동물 스파이 천태만상
- 비바람에 넘어진 전신주…수원서 190세대 정전
- “다이어트 도와주겠다” 10대 사촌동생 성폭행한 30대 징역 5년
- 늙어도 은퇴 못하는 ‘마처 세대’를 아시나요...짠내 나는 60년대생들
- 한국 여자야구, 홍콩에 18대2 콜드게임 승리
- 누리호 3차 발사 중간 분석…”도요샛 3호기 사출 안 된 것으로 추정”
- 태평양 도서국 정상들, 부산 엑스포 부지 방문
- 美가 편지까지 보내 제안했지만...中, 국방장관 회담 거절
- ‘언제 죽느냐’ 암 환자에게 퍼붓는 저주[만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