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미사일 발사에도..한미, 종전선언 협의 잰걸음
[앵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도 한미 당국 간 종전선언 논의에 속도가 붙는 모습입니다.
이미 종전선언 문안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에 들어간 사실이 확인됐는데,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임혜준 기자입니다.
[기자]
한미의 종전선언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북한과 대화를 시작하기 위한 시작점으로서 종전선언이 유용할 수 있다는 데 한미 간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종전선언과 관련한 문안 협의에 나선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그동안 종전선언과 관련해 "계속 협의해나간다"는 기조보다는 상당 부분 구체적 진전이 이뤄지고 있는 겁니다.
특히 미국은 종전선언 문안이 향후 미칠 파장에 대해 상당수의 법률가를 투입해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진전은 최근 연이은 한미 외교, 정보라인 고위 인사들 간의 접촉 성과로 보이는데, 한미가 공동문안을 도출해내고 북한이 이에 호응한다면 종전선언 채택까지의 과정이 일사천리로 진행될 수 있다는 희망 섞인 관측도 나옵니다.
<정의용 / 외교부 장관> "내용을 확인해드릴 수는 없지만. 종전선언에 대해서 아주 심도 있는 협의들을 하고 있습니다."
당장 이번 주 금요일 방한하는 성 김 대북특별대표가 관련해 추가로 정리되고 진전된 미국 측의 입장을 들고 올지 주목됩니다.
정부도 이번 성 김 대표의 방한으로 종전선언 논의가 보다 추동력을 얻을 수 있길 기대하는 분위기입니다.
<노규덕 /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고위급에서의 협의에 이어서 제가 실무차원에서 성 김 대표와 진지한 협의를 가졌습니다. 성 김 대표는 이번 주말에 다시 서울에 와서 종전선언 문제에 대한 입장을 또 저희하고 공유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이와 함께 정의용 장관은 종전선언 논의에 있어 한국이 옵서버, 즉 관찰자의 자격으로 참여하는 것 아니냐는 야당 의원 질의에 "전혀 사실이 아니"라며 한국도 협의의 '당사자'로서 참여해나간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junel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씬속뉴스] 자전거·킥보드 타고 실내 매장 휘저은 남성…SNS엔 수상한 내용이
- 병력 자원 감소에 육군 3개 사단 신병교육대 사라진다
- 인터넷 통해 유기됐던 '출생 미신고 아동' 8년 만에 찾아
- 강정애 보훈장관 후보자 "홍범도, 독립유공자로 예우받아야"
- 서울·전북 선거구 1곳씩 줄어…여 "큰 틀 동의" vs 야 "여당 편향"
- 가자 남부 지상전 돌입…탱크 결집에 민간인 "떠나라"
- 김정은, 어머니대회서 '자녀 단속' 주문…출산도 독려
- 중국서 '건강코드' 재등장?…'코로나 악몽' 불안감
- 버려지는 고양이들…"현상금 100만원에 목격자 찾습니다"
- "음습한 권력투쟁" 혁신위 직격…원희룡은 "혁신 모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