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택가격 6년 만에 하락..헝다 리스크 시작되나
[경향신문]
중국 대도시 주택 가격이 6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헝다(恒大·에버그란데)그룹을 비롯한 부동산개발업체들이 채무불이행 위기에 직면하면서 중국 부동산 시장의 리스크 우려가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국가통계국이 20일 발표한 자료를 분석해 중국 70개 주요 도시의 9월 신규(분양) 주택 가격이 전달보다 0.08%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주택 가격이 하락한 것은 2015년 4월 이후 6년여 만에 처음이다. 앞서 지난 18일 나온 중국의 9월 주택 판매액도 작년 동월보다 16.9% 감소했다.
헝다 사태를 계기로 대형 부동산 개발 업체들의 파산 우려가 급속히 커지면서 중국의 주택 수요자들은 섣불리 일부 돈을 먼저 지급하고 주택을 분양받기를 꺼리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블룸버그는 “헝다를 비롯한 부동산 개발 업체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구매자들이 외면하면서 주택 시장 침체 현상은 더욱 선명해지고 있다”며 “주택 가격 하락은 추가 수요 약화, 건설사 현금 부족, 더 큰 폭의 (주택) 가격 할인이라는 악순환을 부채질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블룸버그는 지난 19일 중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국내총생산(GDP) 자료를 분석한 결과 3분기 부동산업 생산이 작년 동기보다 1.6% 감소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고 전했다.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빈부격차를 완화하는 ‘개혁’ 차원에서 작년 말부터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자금줄을 강력히 통제하면서 중국 부동산 시장은 위기 국면을 맞고 있다. 중국의 부동산 산업은 중국 GDP의 거의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돼 부동산 시장 리스크가 경기 전반으로 퍼질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이 시장 전망치에 못 미치는 4.9%(전년 동기 대비 기준)까지 떨어지면서 중국 경기 급랭 우려가 커졌다.
이때문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공동부유’를 촉진하기 위한 핵심 과제 중 하나로 내세우고 있는 부동산세 도입 계획이 당 안팎의 반발에 직면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면적인 부동산세 도입이 지연되고, 부동산세 시범 지역도 당초 계획보다 축소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부동산세 도입은 중국에 해묵은 숙제다. 부동산 보유에 따른 세금이 없고 상속세도 없다보니 빈부격차를 완화하고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세금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돼 왔다.
이윤정 기자 yyj@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KT 유심 절대 교체 마라, 부정선거 여론몰이다”···또 시작된 극우 음모론
- 흉기 난동 학생, “학교생활 힘들어, 해코지하고 죽고 싶었다” 진술
- ‘논문 지도’ 빌미로 대학원생 제자 수차례 성폭행한 전직 대학교수 구속기소
- 홍준표 “난 한동훈 ‘자기애’·김문수 ‘탈레반’ 원칙주의도 배워”
- 통상전문가 김양희 “미국에 주눅 든 협상단…관세협의 첫 단추 잘못 뀄다”
- SKT 유심 유출사고에 은행 반사이익?··· “알뜰폰 가입 문의 폭증”
- 세금 없이 배당 주는 감액배당, 정부는 ‘과세 검토’ 하지만 ‘고민’
- 국민은 12·3 계엄 이후 한덕수가 한 일을 알고 있다 [김민아 칼럼]
- [단독]오세훈 측근 전화기서 공표 전 여론조사 발견···그동안 주장과 배치
- 현금 인출기·지하철 멈추고 ‘대혼돈’…스페인 등 이베리아반도 덮친 대규모 정전 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