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면역 반응, 백신 2차 접종 뒤에야 표준 수준 도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임산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았을 때 처음에는 다른 여성들보다 항체가 덜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를 논평한 미국 듀크대 의과대학 소속 크리스티안 오비스는 "이는 임신 초기에 백신을 접종하고, 임신 후기에 면역 반응 증폭을 위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모유로 항체 전달을 최대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을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산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았을 때 처음에는 다른 여성들보다 항체가 덜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사이언스지의 자매지 '사이언스 중개의학'에 게재됐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임신부와 모유 수유를 하는 산모는 모더나, 화이자 백신 1차 접종 시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약한 면역반응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임산부의 면역 반응은 2차 접종 뒤에야 표준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논평한 미국 듀크대 의과대학 소속 크리스티안 오비스는 "이는 임신 초기에 백신을 접종하고, 임신 후기에 면역 반응 증폭을 위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모유로 항체 전달을 최대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을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블룸버그 통신은 "임신한 여성이 코로나19에 취약하다는 점이 앞선 연구들에게 입증돼왔다"면서 "일부는 생식능력, 모유 수유 관련 우려로 백신 접종을 꺼리지만 그런 우려는 연구를 통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고 전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s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00억 넘어도 앞다퉈 산다…이재용도 줄섰던 '그 회사'
- "한국기업 이러다 큰일 난다"…반도체 전략 바꾼 日의 큰그림
- "시원하기만 한 줄 알았더니…" 마사지의 놀라운 효과
- 9억에 거래되던 해운대 아파트, 1년 만에 13억으로 '급등'
- "맞벌이 부부인데 남편이 밥을 안 해요" [법알못]
- '대한외국인' 한정수 "제가 4000명이랑 사귀었다고요?"
- '1조원 커플' 베컴♥펠츠 파격적인 누드커플샷...I really love you[TEN★]
- 마동석♥예정화, '이터널스' 프리미어 포착…5년째 공개 연애 중
- '마이네임' 한소희 "안보현과 베드신, 사랑보단 장치로 생각했죠" [인터뷰③]
- 김선호, 직접 입 열었다…'낙태 종용' 논란 인정 "내 불찰"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