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세 중과에 매물 잠김 심화..다주택자 매도량 '반토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지난해 7월 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의 주택 양도 중과세율을 10%포인트(P) 상향하는 등 내용의 7·10 대책을 발표한 이후 '매물잠김'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10 대책 발표 이후인 지난해 8월 20일 국회 기재위 전체 회의에서 "양도세 중과는 내년 6월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앞으로 1년 사이에 다주택자 매물이 상당 부분 나올 것으로 예상하며 실제로 (매물이) 나오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지난해 7월 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의 주택 양도 중과세율을 10%포인트(P) 상향하는 등 내용의 7·10 대책을 발표한 이후 ‘매물잠김’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도세 중과 유예기간에 다주택자 매물이 쏟아질 거란 정부 기대와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이다.
20일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다주택자 매도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다주택자 전체 주택 매도량은 7·10 대책 발표 이전인 지난 2020년 6월 7886건에서 발표 이후인 7월 7140건으로 줄었고 8월에는 3342건으로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양도세 중과 대책을 내놓으면서 올해 6월부터 중과를 실제로 시행하겠다고 밝혔고, 1년에 가까운 중과 유예기간에 다주택자가 매물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10 대책 발표 이후인 지난해 8월 20일 국회 기재위 전체 회의에서 “양도세 중과는 내년 6월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앞으로 1년 사이에 다주택자 매물이 상당 부분 나올 것으로 예상하며 실제로 (매물이) 나오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홍 부총리가 이 발언을 했던 8월 실제 다주택자 주택 매도량은 대책 이전인 6월의 절반 이하로 줄어 ‘매물잠김’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던 셈이다.
반면 7·10 대책 전후 주택 증여는 많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7·10 대책 전후의 증여량은 1963건에서 3151건으로 늘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인터뷰] “세계 유일의 국립 암 전문기관, 이대로면 5년 안에 ‘이류’로 전락한다”
- [농수산 수출시대]③ 세계로 뻗는 K-수산물…수출 4조원 넘은 블루푸드 산업
- "소니 딱 기다려" 이미지센서, 무섭게 추격하는 삼성·SK
- “실적 전망도 의미 없다”… LG디스플레이, 2兆 적자 발표에도 상승
- [시승기] 신형 코나, 진취적 디자인에 안정적 성능
- 난방비 '쇼크'… 공과금 할인 받을 수 있는 카드 어딨나
- 둔촌주공 '초소형' 완판 가능할까… 전문가들의 의견은
- [스타트UP] 화장품에 꽂힌 해커, 물·기름 섞는 신기술로 피부 보습
- 등유값 급등에 한숨 쉬는 세탁소 사장… “겨울나기 힘드네”
- 증권맨이 만든 남성 팬티, 700만장 팔렸다… “특허 기술만 1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