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우량기업 주가 바닥 길 때 좀비기업은 날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사태로 기업 구조조정 시계는 멈춰 섰다.
코로나 이후 '좀비기업'의 주가가 초우량기업 주가보다 휠씬 높다는 것이다.
김 전 원장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7~2019년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 1배 미만(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지 못하는 기업)의 좀비기업군에 속하는 상장사 85개의 9월 말 현재 주가지수는 180으로 초우량기업군(이자보상배율 22배 이상) 85개 상장사 주가지수 115보다 64% 높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무차별 유동성 지원 지양해야
코로나19 사태로 기업 구조조정 시계는 멈춰 섰다. 정부는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에 대해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치를 발표했다. 지난 9월에는 구제금융 조치를 내년 3월까지 6개월 또다시 연장했다. 코로나19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일시적 구제금융의 불가피성은 물론 있다. 하지만 무차별적인 구제금융은 잠재적 부실을 확대하고 경제 복원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우려된다. 김준경 전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코로나19 사태로 기업 부실 리스크가 감춰져 있다며 주목할 만한 지표를 제시했다. 코로나 이후 ‘좀비기업’의 주가가 초우량기업 주가보다 휠씬 높다는 것이다.
김 전 원장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7~2019년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 1배 미만(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지 못하는 기업)의 좀비기업군에 속하는 상장사 85개의 9월 말 현재 주가지수는 180으로 초우량기업군(이자보상배율 22배 이상) 85개 상장사 주가지수 115보다 64% 높았다. 주가지수는 첫 확진자 발생일인 2020년 1월 20일을 기준(100)으로 설정한 것이다. 김 전 원장은 “코로나 이전부터 존속돼 온 좀비기업군 주가는 구제금융 영향으로 투기성 거품이 형성됐다”며 “현재와 같은 무차별적인 구제금융은 도덕적 해이와 부실 확대를 유발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1990년대 일본은 버블 붕괴 후 부실채권을 방치함에 따라 장기 불황에 빠졌다”며 “유동성을 지원하되 부실 위험을 반영한 금리 설정과 자구 노력을 전제로 한 조건부 부채 조정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선호 전 여친, 기상캐스터 출신?…'사과'에도 신상 공개 '일파만파'
- 신도시 신축 30평 vs 서울 30년 20평…수억 가른 '부부의 선택'
- 던져진 유동규 폰 망설임없이 '쓱'…남성의 정체는[영상]
- ‘온몸 피멍’ 아옳이, 이번엔 “손발 쫙 안펴져...법적대응 준비중”
- “이 X아, X발 닭 파니까 우습냐” 찜닭 점주의 폭언
- 이재명 조폭연루설 '돈다발사진'가짜 공방…조직원은 '얼굴공개'
- 윤석열 '전두환 정치는 호남도 인정' 발언에…호남 뿔났다
- '살아는 있습니다만'…간미연, 모더나 맞고 혈압 '최저 61'
- 이순재 이어 권상우도…中게임사 '연예인 싹쓸이' 이유 있네
- 임신부 백신 접종시작…'둘째 임신' 가수 이지혜 '인증샷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