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장기'서 발병하는 이 병..조기발견·치료, 생존율↑

이승구 2021. 10. 20. 13: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간, 70% 손상돼도 못 느껴..간암 발견시 상당히 진행된 상황
국내 암 발병률 6위..평균 5년 생존률 37%에 불과해 '치명적'
B·C형 간염, 알콜성 간질환, 비알콜성 지방간 등이 주요 원인
만성 간 질환자 등 고위험군, 3~6개월마다 정기적 검사 필수
간암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이는 지름길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간은 우리 몸의 중요한 장기 중의 하나다. 해독·살균 작용은 물론 탄수화물·아미노산·단백질·지방 등 주요 영양분의 대사, 담즙산·빌리루빈 대사, 비타민·무기질 대사, 호르몬 대사 등 다수의 대사작용을 담당한다.

이렇게 중요한 간은 매일매일 손상과 재생을 반복하기 때문에 통각수용기가 없어서 70% 이상이 손상되더라도 특별한 통증을 느끼지 못해 ‘침묵의 장기’로 불린다. 이렇듯 간세포는 재생을 잘 하지만, 간 기능의 허용 범위를 넘으면 증상이 나타나 간 질환이나 간암이 늦게 발견되기도 한다.

매년 10월20일은 한국간재단과 대한간학회가 지정한 ‘간의 날’이다. 이 날을 맞아 간 질환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진단과 치료를 독려하자는 목적에 맞게 자신의 간 건강을 돌아보고 그 소중함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20일 의료계에 따르면 간암은 우리나라에서 암 발병률이 여섯 번째로 높은 암이고, 5년 생존율이 40%에 못 미칠 정도로 치명적인 암이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2018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보면 2018년 신규 간암 환자는 1만5736명으로 전체 암 환자의 6.5%인 6위를 차지했다. 특히 남녀 평균 5년 생존율은 37.0%에 그쳤다. 

이는 간암이 조기에 발견해 간 이식 등을 통해 치료하면 완치까지 기대할 수 있지만, 국내 환자의 70%가량은 암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간암이 발생한 후 시간이 지나면 복부가 팽창하고,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통증이 느껴지며, 피부와 눈 흰자에 황달 증상도 나타난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나타났을 땐 암이 이미 상당 부분 진행된 경우가 많다.

 
간암의 주요 원인은 B형·C형 간염 바이러스, 알콜성 간질환, 비(非) 알콜성 지방간 등이다. 

경희대병원 간담도 췌장외과 김범수 교수는 “손상된 간을 조기에 치료하지 못하면 간경변증이 발생해 간암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면서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에 따른 비만의 영향으로 사회활동이 왕성한 40대에서도 비알코올성 간 질환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간암은 혈액검사와 초음파, 컴퓨터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검사로 진단할 수 있으며, 혈액검사로 간암에서 나타나는 수치를 확인하고, 초음파를 통해 간의 상태와 크기, 위치를 확인한다. 컴퓨터 단층촬영(CT)과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로는 간암의 진행 상태와 전이 여부를 판정한다. 조직검사는 검사 결과가 충분하지 않을 때 시행한다.

간암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환자의 암이 있는 간의 일부를 떼 내는 ‘간 절제’와 환자의 간 전체를 들어내고 건강한 간을 이식하는 ‘간 이식’이 있다.

간 절제는 종양 자체를 제거해 재발률을 낮춘다. 간 기능이 양호하고 절제가 가능하면 1차적으로 고려한다. 간 이식은 간 절제가 위험한 간경병증 간암 환자의 치료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 간 이식 후 4년 생존율은 약 75%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간암을 예방하려면 간병변증으로 진행할 수 있는 B형·C형 간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B형 간염은 백신을 맞아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생기는 독성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간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금주도 필수다. B형·C형 간염 환자는 지방간, 간경변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고, 치료 후에도 재발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김 교수는 “간암은 환자마다 종양의 위치, 크기, 특성이 모두 달라 치료법을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외과, 종양내과, 소화기내과, 영상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등 여러 과 간 협진이 중요하다”면서 “특히 간암을 예방하기 위해 만성 간 질환자 등 간암 고위험군은 3~6개월마다 검사를 받아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만 40세 이상 간암 발생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6개월마다 검사를 제공하고 있다. 간암 고위험군은 간경변증, B형 간염 바이러스 항원 양성,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양성,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로 인한 만성 간질환 환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