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트다운만 남았다" 누리호 발사 'D-1' 우주강국 실현 눈앞

2021. 10. 20. 11: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카운트 다운'만을 남겨두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20일 오전 나로우주센터 발사대로 이송된 후 기립작업을 완료했다.

이번 누리호 개발에는 한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필두로 300개 국내기업에서 약 500여명의 인력이 참여했다.

이번 누리호 개발은 정부 주도 우주개발에서 민간기업 중심의 '뉴 스페이스' 시대로 전환하는 신호탄을 쏘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독자기술 '누리호' 발사 D-1
기립작업 완료, 전원·추진제 충전
한화·KAI등 300여사 개발 참여
민간 주도 '우주시대' 전환 속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 기립된 누리호 인증모델. 누리호 인증모델은 1차 발사되는 누리호 비행모델과 크기와 성능이 같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우주를 향해 우뚝 섰다”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카운트 다운’만을 남겨두고 있다. 한국판 ‘뉴 스페이스’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모두 준비가 완벽히 마무리 됐다. 정부와 민간 기업이 뭉쳐, 누리호 성공 발사를 위해 할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했다. 누리호는 21일 오후 4시께 발사가 예정돼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20일 오전 나로우주센터 발사대로 이송된 후 기립작업을 완료했다.

누리호는 오전 7시 20분께 나로우주센터 발사체종합조립동에서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탑재돼 시속 1.5km의 속도로 약 1시간 20분만에 발사대로 옮겨졌다. 이송된 누리호는 이후 수직으로 세워져 발사패드에 고정됐다.

이후 누리호에 전원 및 추진제(연료, 산화제) 등을 충전하기 위한 설비인 엄빌리칼을 연결하게 된다. 누리호의 연료와 산화제는 발사 당일인 21일에 충전된다.

이번 누리호 개발에는 한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필두로 300개 국내기업에서 약 500여명의 인력이 참여했다. 정부는 누리호 개발을 통해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과 기업들의 역량 강화에 적극 나섰다.

누리호 체계 총조립, 엔진조립, 각종 구성품 제작 등 기술협력을 통해 산업체 역량을 강화하고 점진적으로 기업의 역할을 확대해 향후 발사서비스 주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누리호는 개발 초기 설계단계부터 산·연 공동설계센터를 구축하고 기술이전을 지원했다. 실제 누리호 개발 전체 사업비 1조 9572억의 80%인 1조 5000억원이 참여 기업에 쓰였다.

KAI는 300여개 기업이 만든 제품을 활용해 누리호 체계 총조립을 진행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엔진, 터보펌프,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만든 75톤급 엑체엔진은 누리호의 핵심으로 극한의 우주환경 조건을 견뎌낼 수 있도록 제작됐다. 누리호 연소시험은 현대로템이 발사대는 현대중공업이 제작했다.

이외에도 많은 국내기업들이 부품 제작부터 각종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누리호 개발에 일조했다.

이번 누리호 개발은 정부 주도 우주개발에서 민간기업 중심의 ‘뉴 스페이스’ 시대로 전환하는 신호탄을 쏘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미국, 유럽 등 주요 우주선진국에서는 이미 스페이스X, 블루오리진, 버진갤럭틱 등의 민간기업 중심의 뉴 스페이스 시대가 열렸다.

KAI는 경남 사천에 민간 우주센터를 건립하고 설계, 제작, 시험을 한꺼번에 진행해 우주기술 개발 인프라를 최적화한다는 계획이다. 한화그룹도 우주 산업을 총괄하는 협의체인 스페이스 허브를 지난 3월 출범시켰고, KAIST(한국과학기술원)와 스페이스 허브 우주센터를 설립해 위성 간 통신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궁극적으로 정부는 장기적 관점에서 우주산업의 큰 그림을 그리고 판로를 확보하고 민간 기업은 완제품을 만들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