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의 상처[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14>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2021. 10. 20.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너그러운 사람들이 있다.
자신에게 상처를 입힌 가해자에게조차 너그러운 사람들이 있다.
그녀가 너그러운 것은 상처가 피해자한테만 발생하는 게 아니라 가해자에게도, 어쩌면 가해자에게 더 큰 상처가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잔인한 짓은 피해자에게 상처를 입힐 뿐만 아니라, 어쩌면 가해자에게 더 깊고 더 영구적인 상처를 입힐지도 모른다." 말도 안 되는 생각 같지만 인간을 선하고 윤리적인 존재로 상정하면 얼마든지 가능한 생각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너그러운 사람들이 있다. 자신에게 상처를 입힌 가해자에게조차 너그러운 사람들이 있다. 아일랜드 작가 샐리 루니가 쓴 ‘노멀 피플’(보통 사람들)의 주인공 메리앤이 그러하다. 그녀는 학교에서 늘 따돌림을 당했다. 특히 두 남학생이 심하게 그랬다. 그들 중 하나는 다른 학생들이 모여 있는 자리에서 그녀의 작은 가슴을 납작 가슴이라고 하면서 서로의 귀에 대고 모욕적인 말을 소곤거렸다. 그들은 더한 짓도 했다. 중고등학교를 다닐 때 있었던 일이다. 열여덟 살 무렵이었다.
그녀는 졸업하고 몇 년 후 그들을 용서한다. 가해자 중 하나는 죽어서 용서할 수 없게 됐지만, 다른 하나가 사과하자 바로 용서한다. 자살한 친구도 미리 용서해줄 수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으랴 싶다. 그 친구도 속으로는 틀림없이 미안해했을 것만 같다. 그녀가 너그러운 것은 상처가 피해자한테만 발생하는 게 아니라 가해자에게도, 어쩌면 가해자에게 더 큰 상처가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잔인한 짓은 피해자에게 상처를 입힐 뿐만 아니라, 어쩌면 가해자에게 더 깊고 더 영구적인 상처를 입힐지도 모른다.” 말도 안 되는 생각 같지만 인간을 선하고 윤리적인 존재로 상정하면 얼마든지 가능한 생각이다. 그녀는 피해자도 고통과 상처를 통해 배우고, 가해자도 잘못된 행동을 하면서 “잊을 수 없는 무엇인가를 알게 되는 법”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그녀가 자기한테 잘못한 사람들을 가엾게 여기는 이유다. 가해자든 피해자든 상처를 통해 배우고 바뀐다는 믿음이 있는 거다.
피해 당사자가 전혀 아님에도 가해자를 향해 죽일 듯이 돌을 던지는 가학적인 문화를 생각하면 인간 본성에 대한 그녀의 낙관은 다소 순진해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피해자인 그녀가 보여주는 눈부신 너그러움도, 그 너그러움이 상정하는 가해자의 선한 윤리적 본성도 우리 인간의 일부다. 그것만으로도 인간은 벌써 아름답다.
그녀는 졸업하고 몇 년 후 그들을 용서한다. 가해자 중 하나는 죽어서 용서할 수 없게 됐지만, 다른 하나가 사과하자 바로 용서한다. 자살한 친구도 미리 용서해줄 수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으랴 싶다. 그 친구도 속으로는 틀림없이 미안해했을 것만 같다. 그녀가 너그러운 것은 상처가 피해자한테만 발생하는 게 아니라 가해자에게도, 어쩌면 가해자에게 더 큰 상처가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잔인한 짓은 피해자에게 상처를 입힐 뿐만 아니라, 어쩌면 가해자에게 더 깊고 더 영구적인 상처를 입힐지도 모른다.” 말도 안 되는 생각 같지만 인간을 선하고 윤리적인 존재로 상정하면 얼마든지 가능한 생각이다. 그녀는 피해자도 고통과 상처를 통해 배우고, 가해자도 잘못된 행동을 하면서 “잊을 수 없는 무엇인가를 알게 되는 법”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그녀가 자기한테 잘못한 사람들을 가엾게 여기는 이유다. 가해자든 피해자든 상처를 통해 배우고 바뀐다는 믿음이 있는 거다.
피해 당사자가 전혀 아님에도 가해자를 향해 죽일 듯이 돌을 던지는 가학적인 문화를 생각하면 인간 본성에 대한 그녀의 낙관은 다소 순진해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피해자인 그녀가 보여주는 눈부신 너그러움도, 그 너그러움이 상정하는 가해자의 선한 윤리적 본성도 우리 인간의 일부다. 그것만으로도 인간은 벌써 아름답다.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단독]건보公, 고객센터 1600명 직접고용 가닥…“정규직 역차별” 반발
- 검찰, ‘대장동 키맨’ 남욱 석방…“체포시한 내 조사 마무리 안 돼”
- 尹 “전두환, 5·18-쿠데타 빼면 정치 잘했다” 李 “석고대죄하라”
- 윤석열 “4연패의 주역들” vs 홍준표 “文정권의 앞잡이”
- 野주자들, ‘핵’ 최다 언급…‘청년-부동산’은 뒤로 밀려
- 경실련 “대장동 개발이익 1조8000억…공공환수는 10% 뿐”
- 野 “대장동 자료 요구하자…경찰 ‘사건 확인안된다’ 미적”
- ‘이재명 국감’ 서울서 2라운드…오세훈, ‘대장동’ 저격수 자처
- 유동규가 던진 휴대전화, ‘쓱’ 주워 간 남자 (CCTV 영상)
- 文 “자제”요청에도…민노총 내일 총파업 강행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