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신 - 루시앙 골드만 [김남일의 내 인생의 책 ③]

김남일 | 소설가 2021. 10. 19. 21: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저 견딜 수밖에 없었다

[경향신문]

꼭 읽으려고 책을 사는 건 아니다. 여름날 땡볕 쏟아지는 툇마루에서 베개 대신으로 쓰이는 것도 책의 장한 기능 중 하나이겠지만, 옆에 끼고 다니며 폼을 잡는 것도 제법 훌륭한 기능이다. 천하의 시인 김정○ 형님은 종종 ‘난닝구’ 바람에 백과사전만 한 불어사전을 옆구리에 끼고 서울 한복판에 등장했다. 인류가 지하철에서 아직 책을 읽던 시절의 일이니, 책 제목은 꽤 중요했다. 가령, <숨은 신>이라면?

대체 누가 그토록 오만한 제목을 붙일 수 있단 말인가.

책의 속표지에 내가 이렇게 적어놓았다.

‘예술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그래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그때 나는 분명히 모더니스트였다. 루카치도 “하늘에 떠 있는 별을 보고 길을 찾을 수 있던 시절은 행복하였노라” 말하던 시절의 루카치부터 받아들였다. <소설의 이론> 어디에서도 경직된 혹은 노회한 마르크스주의자의 모습은 찾아낼 수 없다. <숨은 신> 역시 문학작품의 구조를 사회계급의 의식구조와 견주고 있지만, 책장을 넘길수록 분명해지는 건 파리의 노천카페에 앉아 있는 동유럽 출신 한 망명자의 모습이었다. 그 시절 내가 꿀 수 있었던 꿈의 최대치가 딱 그 정도였으리라. 어쨌든 유신의 서슬은 참으로 시퍼렜다. 잘못을 따지자 해도 신이 숨어버린 시대, 게다가 무신론자로서 내가 할 일은 그저 견뎌내는 것밖에 없었다.

<숨은 신>은 지금 읽어도 어려운 문학이론서다. 갓 스무 살을 넘긴 내가 제대로 읽었을 리 없다. 다만 고맙게도 책에는 밑줄을 칠 만한 구절이 넘쳐났다. 내 마음을 가장 휘어잡은 건 대개 이런 종류였다.

‘비극적 인간은 절대로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다. 단지 희망을 세계에 두지 않을 뿐이다.’

그나저나 내가 읽은 <숨은 신>은 발췌 번역본이었다. 지금까지도 완역본은 만나지 못했다.

김남일 | 소설가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