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비 횡령교수는 경징계, 환경개선 요구 강사는 형사고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북대학교와 전북대병원에 대한 국회 교육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교수 연구윤리 문제와 간호사 정규직 채용비율저조에 대한 질타가 이어 졌다.
김의원은 김동원 전북대 총장에게 "제자의 논문을 갈취하고 연구비를 횡령한 교수가 제1저자 학생에게 자신의 자녀 등하교를 시키고 대리강의를 지시한 사실도 밝혀졌는데 대학징계위원회와 교육부는 경징계를 내린 반면에 학생들의 학습환경 개선을 위해 가지치기를 요구한 강사에게는 면직에 이어 형사고발까지 했다"면서 이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일,국회에서 진행된 14개 지역 거점국립대학교와 국립대병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김철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논문저자 바꿔치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전북대 A교수에 대한 연구비 횡령과 제자인권침해 문제를 따졌다.
김의원은 김동원 전북대 총장에게 "제자의 논문을 갈취하고 연구비를 횡령한 교수가 제1저자 학생에게 자신의 자녀 등하교를 시키고 대리강의를 지시한 사실도 밝혀졌는데 대학징계위원회와 교육부는 경징계를 내린 반면에 학생들의 학습환경 개선을 위해 가지치기를 요구한 강사에게는 면직에 이어 형사고발까지 했다"면서 이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김동원총장은 이에 대해 "징계위원회에 해당 교수의 관련 사안을 회부했으나, 감봉 2개월에 그쳤고 교육부에 재심의를 요청해 정직 1개월이 나왔다"면서 "징계위 결과는 대부분의 논문이 연구부정의 징계 시효인 3년이 지나 그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강민정 의원(열린민주당)은 "전북대 부설연구소가 131개소에 이르지만 연구원이 단 한명도 없는 연구소가 87%인 114개소에 이르고 학술행사를 단 한건도 개최하지 않는 연구소가 94곳에 이른다"면서 "부설연구소는 많지만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유령연구소"라고 질책했다.
강의원은 이와 함께 전북대병원의 간호인력 부족에 대해서도 대책을 물었다. 현재 전북대병원의 간호직 정원은 1310명이지만 현원은 정원보다 234명이 부족한 1076명이다.
이에 강의원은 "간호인력이 부족한 이유는 강도 높은 간호사 교육과 수습기간이라는 이유로 낮게 책정되는 월급이 지유로 지적된다."며 정규직 채용을 높일 것을 요구했고 유희철 원장은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최인 기자(=전주)(chin580@naver.com)]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만평] 직격탄!!
- 구사대 동원되고 뇌출혈로 쓰러지고...고등학생 '현장실습'의 역사
- 文대통령도 '변희수 항소 2차 가해' 우려..."軍, 항소장 쓸 시간에 제도 개선을"
- 북한, 동해상으로 탄도 미사일 발사…SLBM 가능성 제기
- '조폭 돈뭉치' 김용판 윤리위 제소 예정...김용판 "돈다발 문제 있는 듯...착잡"
- 대장동, 땅장사·집장사 판이 된 공공개발의 표상
- "전교조 인권조례 서명 실패했다"던 언론은 어디에?
- 코로나 확진자 1073명으로 감소세 뚜렷...집단감염 산발적 발생
- 유기견 천국 홍보하더니...군산시, 불법 안락사는 '쉬쉬'
- 성김 "종전선언 논의 계속 기대…이번주 후반 한국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