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복비' 시행..환영하면서도 "여전히 비싸다" 목소리
오늘(19일) 계약하는 집부터 이른바 '반값 복비'가 적용됩니다. 소비자들 반응을 들어보니 "잘됐지만, 여전히 비싸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렇다 보니 수수료를 안 내거나 적게 내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거래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습니다.
서효정 기자입니다.
[기자]
소비자들은 일단 중개수수료율을 내린 결정은 환영했습니다.
[김모 씨/서울 오류동 : 뉴스 듣고는 잘됐다고 생각했죠. 그거라도 내리면 다행이라고 생각하는데…]
하지만 여전히 너무 비싸다고 했습니다.
[박세진/인천 숭의동 : 집값 대비해서 퍼센트 따져서 수수료를 가져가는 거다 보니까 집값이 많이 올랐잖아요. 그만큼 부동산 중개료도 많이 올랐다고 생각하고…]
정부는 오늘부터 6억원 이상의 집 매매와 3억원 이상의 전월세 계약을 할 때 중개수수료율 상한선을 낮추는 개편안을 시행했습니다.
10억원짜리 집을 산다면 최고 900만원이던 수수료가 500만원으로 떨어지고, 6억원짜리 집에 전세로 들어간다면 최고 480만원이었던 수수료가 절반인 240만원으로 줄어듭니다.
하지만 중개사 사이에선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단 주장도 나옵니다.
지금도 소비자와 서로 협의해서 수수료를 깎는데, 이제는 중개업소들이 안 깎고 상한선을 다 받는 분위기가 생길 거라는 것입니다.
[A씨/공인중개사 : 그렇겠죠. 0.9%에서 깎아서 0.5% 이렇게 내려왔으니까 거기서 더 못 깎아주겠지. 딱 정해놨으니까 거기서 더 여지가 있을까 싶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수료를 안 내거나 적게 내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거래를 하려는 소비자도 늘고 있습니다.
[김석환/온라인 중개 플랫폼 대표 : 서비스 시작한 지가 7개월밖에 안 됐거든요. 한 7개월 만에 10배가 넘는 사용자가 늘었다 이렇게…]
하지만 큰돈이 오가는 만큼 아직은 온라인 거래가 불안하다는 소비자도 적지 않습니다.
공인중개사협회는 정부 수수료 개편안에 반대해 법원에 가처분신청 등을 한다는 계획입니다.
(영상디자인 : 오은솔)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 윤호중 "조폭 돈다발은 허세샷…김용판 윤리위 제명 추진"
- 책상 위 생수 마셨을 뿐인데, 쓰러진 직원들…1명은 중환자실
- 삼성에 반도체 얻어썼던 애플, '야수같은' 최신칩 내놨다
- 경비원에 주차·배달시키는 입주민? 벌금 1000만원 낼 수도
- 김선호 측, 혼인빙자 의혹 "사실 관계 확인 중, 심려 끼쳐 죄송"
- 이재명, 24일차에 단식 중단…"의료진과 협의해 법원 출석"
- 한국,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 16번째 입장…구본길·김서영 공동기수
- 퇴직 3년 지나면 '전관' 아니다?…'철근누락' LH 새 기준 보니
- 성큼 다가온 "가을 즐겨볼까"…주말 나들이객 북적
- 일가족 5명 각기 다른 곳에서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