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보수장 모인 날, 미사일 쏜 北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19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로 추정되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오늘(19일) 오전 10시17분쯤 북한이 함경남도 신포 동쪽 해상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SLBM 추정 단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며 "구체적인 특성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북한이 쏜 발사체를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규정, 깊은 유감을 표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LBM 확인 땐 수중시험 후 2년 만
워싱턴 3國 북핵대표 회동도 겨냥
靑 "깊은 유감" 표명 속 대화 촉구
합동참모본부는 “오늘(19일) 오전 10시17분쯤 북한이 함경남도 신포 동쪽 해상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SLBM 추정 단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며 “구체적인 특성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북한이 쏜 미사일은 고도 60㎞, 비행거리 590㎞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포는 최근 수년간 북한의 SLBM 및 SLBM 탑재 잠수함 개발·건조 동향이 포착됐던 곳으로, 한·미 군과 정보 당국의 밀착 감시지역 중 한 곳이다. 군 당국은 이 일대에서 북한의 미사일 관련 움직임을 감지, 현지 동향을 예의주시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채널을 통해 미사일 발사 관련 통지가 있었는지에 대해 “오늘 아침에도 업무 개시통화가 정상적으로 이뤄졌지만, 북한이 별다른 언급을 한 사실은 없다”고 말했다.
NSC는 “한반도 정세의 안정이 그 어느 때보다 긴요하다”며 “북한이 조속히 대화에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비판했지만 대화 테이블로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계속 유지했다. 이날 NSC 상임위에 당연직 위원인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윤형중 국정원 1차장이 대신했다. 박 원장은 이날 방한 중인 애브릴 헤인스 국가정보국(DNI) 국장, 다키자와 히로아키 일본 내각 정보관과 만나 대북현안 등에 대해 비공개 회동했다.
올해 들어 8차례인 북한의 무력시위는 워싱턴과 서울에서 한·미·일 북핵 수석대표와 정보당국 수장이 회동하는 등 대북 대화 재개를 모색하는 시점에서 이뤄졌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문재인 대통령의 종전선언 제안으로 다시 활기를 찾는 듯했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미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자제를 촉구했다. 미 인도태평양사령부는 “미국은 (북한의) 이러한 행위를 비난하고, 북한에 더 이상의 긴장고조 행위를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박수찬·김범수·이도형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