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계열사 우주 사업 역량 총망라"..한화, 서울 ADX 2021 참가

이상현 2021. 10. 19. 09: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화가 지난 3월 '스페이스 허브(Space Hub)' 출범 이후 처음으로 방산계열사의 우주 사업 역량을 한 곳에서 모아 선보인다.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는 "한화는 정부와 적극 협력해 우리나라 우주 독자기술 확보에 앞장서겠다"라며 "위성 서비스나 UAM, 레이저무기 같은 미래 신사업 모델도 지속 개발해 우주와 방산을 모두 아우르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75톤액체로켓엔진. <한화 제공>
한화의 위성추진시스템. <한화 제공>
(왼쪽부터)한화시스템 통신위성, 한화시스템 초소형SAR,쎄 트렉아이 광학위성. <한화 제공>

한화가 지난 3월 '스페이스 허브(Space Hub)' 출범 이후 처음으로 방산계열사의 우주 사업 역량을 한 곳에서 모아 선보인다.

한화 방산계열사는 오는 23일까지 서울공항에서 진행되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전시회(Seoul ADEX 2021)'에서 1100㎡ 규모의 통합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먼저 오는 21일 고흥에서 발사를 기다리고 있는 누리호와 동일한 제품인 75톤 액체로켓 엔진과 동일한 제품 실불이 전시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한화에어로페이스는 누리호의 터보펌프 등 핵심 구성품과 엔진 총제작에 참여했다.

전시부스 초입에서는 한화의 '고체연료 우주발사체'와 '위성추진계'를 볼 수 있다. 고체연료 우주발사체는 설계, 보관, 즉시대응, 제작비 측면에서 장점이 있기 때문에 민간 기업의 우주 사업 참여를 앞당기는 기술로 평가받는다.

이와 함께 다양한 위성도 전시된다. '저궤도 통신위성 플랫폼(한화시스템)'과 국내 최초로 100kg 이하, 해상도 1m급 개발에 성공한 '초소형 SAR위성(한화시스템)', 전세계에서 운용 중인 상용위성 중 가장 높은 해상도(픽셀당 0.3m급)를 지닌 '광학위성(쎄트렉아이)' 등이 선보여질 예정이다.

또 사람이 탑승하지 않아도 AI 기반 자율주행 기술과 원격 조종을 통해 전장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무인차량(한화디펜스)' 등도 전시될 예정이다. 지능형 무인차량은 병사 대신 물자, 탄약, 부상자를 수송하고, 화력 지원도 가능해 군의 전투 효율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켜줄 무기체계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는 "한화는 정부와 적극 협력해 우리나라 우주 독자기술 확보에 앞장서겠다"라며 "위성 서비스나 UAM, 레이저무기 같은 미래 신사업 모델도 지속 개발해 우주와 방산을 모두 아우르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상현기자 ishsy@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