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관론에 갇힌 삼성전자 주가 다시 날아오를 수 있을까 [핫이슈]
시장에서는 올해 초 메모리 반도체의 슈퍼사이클이 2년은 갈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D램의 공급 과잉을 우려한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내년에 D램 공급량을 19%와 17% 가량 늘릴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중국의 전력난, 미국 금리인상 등 세계 경제를 위협하는 악재들도 삼성전자 주가 상승에 부담을 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전 세계가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으로 간다고 해도 전반적인 D램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고 데이터센터 서버용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가전과 전자, 정보통신 신제품이 나오고 있는 것도 삼성전자 주가를 지지하는 호재로 볼 수 있다. 반도체 가격이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더라도 장기적인 추세는 우상향 할 가능성이 더 큰 것이다.
삼성전자 주가 전망과 관련해 주목해야 할 점은 경쟁사들의 공격적인 투자와 실적 동향이다. 인텔과 대만의 대만 TSMC 등은 차세대 반도체에 막대한 돈을 투자하고 있다. 신성장 동력을 찾기 위한 인수합병도 시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도 이런 흐름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 경쟁 우위에 있는 메모리 반도체에서 초격차를 유지하면서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등 비메모리 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 삼성전자의 역량은 충분하다. 당분간은 약세를 보이겠지만 내년에는 다시 십만전자에 도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장박원 논설위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예보 보유 우리금융지주 소수지분 숏리스트에 18곳 포함
- 코치 토리버치 만드는 이 회사, 다음달 `따상` 도전
- 아연·구리값 급등…비철금속株 달궜다
- 코인주 왜 오르나 봤더니…"비트코인 ETF 출시 코앞"
- 은행권, 하반기 역대급 실적…저점매수는 연2.99% 자금으로
- [단독] 추성훈, ‘전참시’ 출격…‘피지컬:100’ 이후 일상 공개
- K패션의 재발견, 아더에러·마뗑킴…토종 브랜드 매섭네~
- 앨리스 소희, 감탄 자아내는 밀착 의상 몸매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 ‘박수홍♥’ 김다예, 허위사실 유포에 경고 “다음은 당신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