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아스팔트가 점령한 도시에 푸른 숨통을 틔우다
강은지 기자 2021. 10. 19. 03:04
[2021 이제는 Green Action!]〈7〉기후변화 맞서는 '자연기반 해법'
'스마트 그린도시' 선정된 지자체.. 도시 자연 회복력 북돋기에 온힘
고가도로 등 시설에 식물 심거나, 오염된 저수지 정화-생태계 복원
빗물 등 모아 지속가능 자연 유지
'스마트 그린도시' 선정된 지자체.. 도시 자연 회복력 북돋기에 온힘
고가도로 등 시설에 식물 심거나, 오염된 저수지 정화-생태계 복원
빗물 등 모아 지속가능 자연 유지
지난해 기상청은 태풍 강도에서 최고 등급인 ‘초강력’ 등급을 새로 만들었다.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을 분석했는데, 기존의 등급 중 가장 강한 ‘매우 강한’ 태풍이 거의 50%를 차지한 것이 등급 신설의 계기가 됐다. 여기에 기후 변화로 인해 갈수록 강한 태풍이 더 자주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예보 시스템도 맞춰 바꿨다.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면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태풍뿐 아니라 가뭄과 폭염, 집중호우 등 위협적인 자연 재난의 강도는 앞으로 더 강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자연기반 해법(Nature-based Solution)’이 주목받고 있다. 자연기반 해법이란 생태계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동시에 기후변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한다.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 등에서 하는 맹그로브 숲 조성 사업이 대표적이다. 해안가에 맹그로브 숲이 조성되면 물고기가 모여 생태계가 회복되고, 숲이 강한 태풍과 파도의 힘을 분산해 피해를 막아준다.
우리나라의 각 지방자치단체도 자연을 회복시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안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해 환경부가 선정한 ‘스마트 그린도시’ 지자체 25곳 중 절반 이상이 도시에 생태녹지를 조성하거나 도심 물순환을 개선하는 등의 방식으로 도시의 자연 회복력 집중에 나섰다. 스마트 그린도시는 지역별 상황에 따라 맞춤형 녹색 전환을 돕는 사업으로 내년까지 진행한다.
○ “회색 도시를 녹색 도시로”
지자체들이 자연 회복을 위해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는 방식은 도심 내 녹지를 확대하고 생태를 회복하는 것이다. 빽빽하게 콘크리트 건물과 도로로 덮여 있는 도시지만, 그 위를 나무와 풀로 덮는 것 자체로도 열섬 현상을 누그러뜨리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대표적인 곳이 전남 순천시다. 순천시는 내년까지 도심 내 고가도로와 그 주변을 ‘정원’과 같은 녹지로 변신시킬 계획이다. 고가도로 인근 방음벽에는 다년초 식물을 세워 이른바 ‘수직 정원’을 만든다. 수직 정원은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주택가로 가는 것을 막고 소음도 흡수한다. 또 고가도로 하부에 있는 기둥과 땅도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모두 넝쿨식물 등을 식재해 녹지로 조성한다. 순천시는 ‘빗물 정원’을 조성해 도로에 떨어진 빗물을 활용해 식물을 기를 계획이다. 여기에 고가도로 인근 국유지에 있는 고물상들은 이전하고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녹지로 조성한다. 순천시 측은 “시민들 모두가 정원을 즐길 수 있게끔 녹지를 많이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도심 내 숲이 늘어나면 그만큼 도시가 쾌적해지고 미세먼지 문제와 소음 문제도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 “오염지를 친환경 공간으로”
오염된 곳을 회복시켜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나선 지자체도 있다. 주로 오염물질이 유입돼 악취나 물고기 폐사 등 문제가 발생한 도심 내 수자원을 회복시키는 경우가 많다. 경남 김해시와 충북 진천군 등이 도심 내 습지와 유수지 수질 정화에 신경 쓰고 있다.
충북 진천군은 인접 산업단지와 축산업체 등에서 오·폐수가 유입돼 주민 민원이 지속되던 신척 저수지를 건전한 수생태계 공간으로 바꾼다. 이를 위해 인근 저수지 하류에 유입되는 산업단지 오폐수 정수된 물을 저수지 상류로 돌려 유량을 확보하고 유속을 증가시켜 수질을 회복하고자 한다. 이후에는 인공지능(AI) 수질정화로봇과 저수지 수상에 식물들을 식재하여 저수지의 수생태계를 복원하고 환경교육의 장소로 활용할 예정이다.
진천군 측은 내년 수상식물원이 완성되면 수질 개선으로 악취 등의 문제가 해결돼 주민들의 생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진천군 측은 “수질 정화에 주목적을 둔 사업이지만 결과적으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 생기고 도심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도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자연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지”
기존의 자연 환경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하는 지자체도 있다. 전남 장흥군은 장흥댐과 탐진강 등 풍부한 수자원을 이용해 수열에너지를 생산하는 계획을 세웠다. 냉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수열에너지로 사용하면 그만큼 화석연료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제주도는 자연으로 방류되는 용천수(빗물이 지하로 스며든 뒤 지표로 솟아나는 물)를 다시 친환경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도심 생태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강원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고성군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폭염, 산불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수원 확보에 나섰다. 5개 군은 협의를 통해 지역 내 유휴지에서 지하수원을 새로 개발하고 빗물 저장 시설을 만들기로 했다. 이렇게 조성된 수원으로는 공원 등 지역 내 숲을 더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활용할 방침이다. 강원도는 지역 내 곳곳에 초미세먼지(PM2.5) 측정기도 설치하기로 했다. 대기질 오염에 대한 경각심과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서다.
강원도 관계자는 “숲이 많은 강원도는 대한민국의 허파이자, 과거 몇 년간 가뭄과 수해 등으로 큰 피해를 입으면서 기후변화의 대응 필요성을 가장 많이 느끼는 곳”이라며 “지금 있는 자연을 최대한 아끼고 기후변화에도 훼손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라고 밝혔다.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면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태풍뿐 아니라 가뭄과 폭염, 집중호우 등 위협적인 자연 재난의 강도는 앞으로 더 강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자연기반 해법(Nature-based Solution)’이 주목받고 있다. 자연기반 해법이란 생태계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동시에 기후변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한다.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 등에서 하는 맹그로브 숲 조성 사업이 대표적이다. 해안가에 맹그로브 숲이 조성되면 물고기가 모여 생태계가 회복되고, 숲이 강한 태풍과 파도의 힘을 분산해 피해를 막아준다.
우리나라의 각 지방자치단체도 자연을 회복시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안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해 환경부가 선정한 ‘스마트 그린도시’ 지자체 25곳 중 절반 이상이 도시에 생태녹지를 조성하거나 도심 물순환을 개선하는 등의 방식으로 도시의 자연 회복력 집중에 나섰다. 스마트 그린도시는 지역별 상황에 따라 맞춤형 녹색 전환을 돕는 사업으로 내년까지 진행한다.
○ “회색 도시를 녹색 도시로”
지자체들이 자연 회복을 위해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는 방식은 도심 내 녹지를 확대하고 생태를 회복하는 것이다. 빽빽하게 콘크리트 건물과 도로로 덮여 있는 도시지만, 그 위를 나무와 풀로 덮는 것 자체로도 열섬 현상을 누그러뜨리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대표적인 곳이 전남 순천시다. 순천시는 내년까지 도심 내 고가도로와 그 주변을 ‘정원’과 같은 녹지로 변신시킬 계획이다. 고가도로 인근 방음벽에는 다년초 식물을 세워 이른바 ‘수직 정원’을 만든다. 수직 정원은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주택가로 가는 것을 막고 소음도 흡수한다. 또 고가도로 하부에 있는 기둥과 땅도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모두 넝쿨식물 등을 식재해 녹지로 조성한다. 순천시는 ‘빗물 정원’을 조성해 도로에 떨어진 빗물을 활용해 식물을 기를 계획이다. 여기에 고가도로 인근 국유지에 있는 고물상들은 이전하고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녹지로 조성한다. 순천시 측은 “시민들 모두가 정원을 즐길 수 있게끔 녹지를 많이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도심 내 숲이 늘어나면 그만큼 도시가 쾌적해지고 미세먼지 문제와 소음 문제도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 “오염지를 친환경 공간으로”
오염된 곳을 회복시켜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나선 지자체도 있다. 주로 오염물질이 유입돼 악취나 물고기 폐사 등 문제가 발생한 도심 내 수자원을 회복시키는 경우가 많다. 경남 김해시와 충북 진천군 등이 도심 내 습지와 유수지 수질 정화에 신경 쓰고 있다.
충북 진천군은 인접 산업단지와 축산업체 등에서 오·폐수가 유입돼 주민 민원이 지속되던 신척 저수지를 건전한 수생태계 공간으로 바꾼다. 이를 위해 인근 저수지 하류에 유입되는 산업단지 오폐수 정수된 물을 저수지 상류로 돌려 유량을 확보하고 유속을 증가시켜 수질을 회복하고자 한다. 이후에는 인공지능(AI) 수질정화로봇과 저수지 수상에 식물들을 식재하여 저수지의 수생태계를 복원하고 환경교육의 장소로 활용할 예정이다.
진천군 측은 내년 수상식물원이 완성되면 수질 개선으로 악취 등의 문제가 해결돼 주민들의 생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진천군 측은 “수질 정화에 주목적을 둔 사업이지만 결과적으로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 생기고 도심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도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자연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지”
기존의 자연 환경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하는 지자체도 있다. 전남 장흥군은 장흥댐과 탐진강 등 풍부한 수자원을 이용해 수열에너지를 생산하는 계획을 세웠다. 냉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수열에너지로 사용하면 그만큼 화석연료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제주도는 자연으로 방류되는 용천수(빗물이 지하로 스며든 뒤 지표로 솟아나는 물)를 다시 친환경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도심 생태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강원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고성군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폭염, 산불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수원 확보에 나섰다. 5개 군은 협의를 통해 지역 내 유휴지에서 지하수원을 새로 개발하고 빗물 저장 시설을 만들기로 했다. 이렇게 조성된 수원으로는 공원 등 지역 내 숲을 더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활용할 방침이다. 강원도는 지역 내 곳곳에 초미세먼지(PM2.5) 측정기도 설치하기로 했다. 대기질 오염에 대한 경각심과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서다.
강원도 관계자는 “숲이 많은 강원도는 대한민국의 허파이자, 과거 몇 년간 가뭄과 수해 등으로 큰 피해를 입으면서 기후변화의 대응 필요성을 가장 많이 느끼는 곳”이라며 “지금 있는 자연을 최대한 아끼고 기후변화에도 훼손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라고 밝혔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이재명에게 줬다는 ‘조폭 돈뭉치’ 사진 공개…진위 논란
- 野 “권순일과 재판 무죄 거래”…이재명 “한명과 그런다고 될일이냐”
- 없다·아니다→기억나지 않는다…‘유동규와 통화’ 놓고 말바꾼 이재명
- 이재명 “유동규에 배신감, 정진상은 측근…김만배 잘 알지 못해”
- 국감중에 “하하하하”…野 “이재명 조롱 웃음, 국민 모독행위”
- “성과는 내 공로고 불법은 모르는 일이냐” 추궁당한 이재명 [사설]
- [사설]체포된 3인방 남욱, 누구 믿고 ‘대장동 돈벼락’ 각본 짰나
- 홍준표 “외신도 ‘비리 대선’ 꼬집어”…윤석열 “洪도 자유롭지 못해”
- 성남시장실 또 빠진 압수수색…野 “수사 시늉만” 김오수 “빠진줄 몰라”
- 與 “尹 법관사찰 의혹 재수사를”…김오수 “공수처서 판단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