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미디어 과목' 생기나
[경향신문]
‘2022 개정 교육과정’ 반영
콘텐츠 비판적 수용력 강화
고교학점제에 ‘선택’ 검토
2025년부터 시행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미디어 이용과 이해, 활용을 돕는 교육과정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노출이 갈수록 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선별적이고 비판적 수용 교육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다. 고교학점제 도입과 맞물려 미디어 이해를 다루는 별도 과목 개설도 검토된다.
18일 교육부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미디어 리터러시 반영 방안’ 자료를 보면, 정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초·중·고 교육과정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계획을 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다양한 미디어를 이해하고 메시지를 분석, 활용하는 능력으로, 디지털 콘텐츠 유통이 폭증하면서 이미 미국, 독일, 프랑스 등 주요 교육 선진국에서는 교과 학습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교육부가 검토 중인 ‘학교급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목표’를 보면 초등학교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기능, 권리·책임을 이해하도록 돕고, 중학교에서는 ‘책임 있는 시민으로 행동하기 위해’ 디지털 미디어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역량을 기르도록 지원한다. 예컨대 초등학교 3·4, 5·6학년군은 교과서에 특화 단원을 구성해 교육 시수를 확보하고, 중학교에서는 자유학기제를 활용해 미디어를 주제로 한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아이디어다. 사회 진출을 앞두고 있는 고등학생들은 보다 구체적인 목표를 두고 교과과정 내에 독립적인 과목을 개설하는 방법도 고려되고 있다. 앞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준비하던 국어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팀은 현재 일반 선택과목인 ‘언어와 매체’에서 ‘언어’ 영역은 ‘화법’ 영역과 결합해 일반 선택과목으로 재편하고, ‘매체’ 영역은 독립해 ‘매체 수용과 생산’이라는 융합 선택과목으로 편성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호준 기자 hjl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도 부정선거라 생각했었다”···현장 보고 신뢰 회복한 사람들
- 국힘 박상수 “나경원 뭐가 무서웠나···시위대 예의 있고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 늙으면 왜, ‘참견쟁이’가 될까
-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사장 해임 “모두 이유 없다”…권태선·남영진 해임무효 판결문 살펴
- 내란의 밤, 숨겨진 진실의 퍼즐 맞춰라
- ‘우리 동네 광장’을 지킨 딸들
- 대통령이 사과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사과해요, 나한테
-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에 차량 돌진…70명 사상
- [설명할경향]검찰이 경찰을 압수수색?···국조본·특수단·공조본·특수본이 다 뭔데?
- 경찰, 경기 안산 점집서 ‘비상계엄 모의’ 혐의 노상원 수첩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