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 다 팔아도 빚 못갚는 '고위험 가구' 8년새 두배로

김성은 기자 2021. 10. 18. 17: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갖고 있는 재산을 모두 팔더라도 빚조차 갚지 못하는 고위험가구 수가 8년 새 두 배 가깝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은행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고위험가구 수는 지난 2012년 20만8000가구에서 2020년 40만3000가구로 1.9배 늘었다.

이러한 고위험가구는 지난 2012년 20만8000가구에서 2013년 23만4000가구로 12.5% 늘었다.

이에 따라 고위험가구의 빚 부담이 커지면서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2년 20만8000가구→2020년 40만3000가구
금융부채 규모도 36조6000억→79조8000억원
서울시내 한 은행 대출창구에서 시민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2021.8.26/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서울=뉴스1) 김성은 기자 = 갖고 있는 재산을 모두 팔더라도 빚조차 갚지 못하는 고위험가구 수가 8년 새 두 배 가깝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은행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고위험가구 수는 지난 2012년 20만8000가구에서 2020년 40만3000가구로 1.9배 늘었다.

고위험가구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DSR)이 40%를 넘고, 총자산(실물자산+금융자산 평가액) 대비 총부채 비율(DTA)이 100%를 초과하는 가구다. 연간 소득의 40% 이상을 원금·이자를 갚는 데 쓰는 동시에 자산을 모두 처분해도 빚을 갚지 못하는 가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위험가구는 지난 2012년 20만8000가구에서 2013년 23만4000가구로 12.5% 늘었다. 이어 2014년 31만4000가구(34.2%)에서 2015년 29만9000가구(-4.8%)로 줄었다가 2016년 32만가구(7.0%) 2017년 32만4000가구(1.3%)로 증가 흐름을 보였다.

2018년에는 30만4000가구(-6.2%)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가 2019년 37만6000가구(23.7%) → 2020년 40만3000가구(7.2%)로 늘었다.

이 기간 이들의 금융부채 규모도 크게 불어났다. 2012년 36조6000억원 → 2013년 53조2000억원 → 2014년 56조2000억원에서 2015년 46조8000억원으로 감소했다가 2016년 58조5000억원 → 2017년 56조5000억원 → 2018년 61조원 → 2019년 78조5000억원 → 2020년 79조8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앞으로 고위험가구의 부채 상환 부담은 가중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5월 은행 대출금리 산정의 근거가 되는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0.50%로 떨어뜨린 뒤 올해 8월 0.75%로 한 차례 인상했다. 금융업계에서는 11월 0.25%포인트(p) 추가 인상 가능성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고위험가구의 빚 부담이 커지면서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se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