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관리 플랫폼 '빼기', 제5회 서울숲 소셜벤처 엑스포 참여
이날 빼기 프로젝트 전시장에는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참석해 폐목재 조각으로 직접 테이블을 만드는 폐가구 업사이클링에 참여하기도 했다.
성동구가 주최하고, 중소기업벤처부와 전국 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가 후원하는 ‘서울숲 소셜벤처 엑스포’는 생태계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2017년부터 매년 진행되고 있다. 소셜벤처 기업 간 소통과 연대, 활성화의 장을 마련하는 동시에 소셜벤처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전파하고, 가치 소비에 대한 시민 공감대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최근 대두되는 ESG와 소셜벤처의 사회적 가치를 연결하여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제공하는 소셜벤처의 역할 조명을 통해, 또 하나의 새로운 사회적 가치 창출의 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빼기’는 이번 엑스포에 업사이클링으로 재탄생한 가구를 전시했다. 빼기는 사진 한 장을 등록하면 대형폐기물 배출 신고 및 운반 서비스를 한 번에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다. 버려진 폐기물이 파쇄되어 소각되기 전에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을 선별하고 수집해 소각 폐기물량을 줄여 탄소중립 실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번 전시 물품도 빼기 앱을 통해 버려진 폐기물을 수집하고 업사이클링 하여 새로운 가구로 만들어 기부 및 판매하는 ‘빼기 프로젝트’를 통해 나온 가구이다.
성남시에 이어 성동구와 두 번째로 진행된 빼기 프로젝트는 ‘빼기’와 시각예술 단체 ‘내내로’의 협업으로 누군가에게 쓸모없이 버려졌던 침대 프레임, 책상, 협탁 등을 실용성이 더해진 서랍장, 작업대, 테이블 등으로 재생산했다. 이는 단순 폐기물 배출에 그치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을 공유했다는 점에서 폐자원 순환 문화를 확산하는 역할도 한다.
이번 ‘빼기 프로젝트’ 전시를 진행한 주식회사 같다 고재성 대표이사는 “빼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지자체와 시민들이 폐기물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폐자원 순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확인했다”리며 “앞으로 주식회사 같다는 보다 많은 시민들이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 자원관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빼기’ 는 성동구에 내년 1월 1일부터 ‘직접버림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다. 성동구의 ‘빼기’ 도입으로 앞으로 성동구민은 폐기물 사진 한 장으로 대형폐기물 신고부터 수수료 결제까지 한 번에 가능하게 됐다.
[최은화 매경비즈 연구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중국 `쩐해전술` 무섭네"…LCD 이어 OLED까지 진격
- [CEO] 가스터빈·물분해수소로 韓 탄소중립 기여할 것
- 삼성·SK "해외출장 확대"…포스코 "재택근무 30%로 줄여"
- LG전자, 1사1촌 마을 확대…경북 의성·강원 삼척-정선과 자매결연
- 알티베이스, 미국과 캐나다에 본격 수출…”소프트웨어도 한류 열풍”
- [인터뷰] ‘거미집’ 송강호 “연출 도전? 배우하기도 벅차요”
- 집값 더 뛴다는데…지금 갈아탈까 [COVER STORY]
- 손흥민, 임영웅·방탄소년단 넘었다…9월 스타 브랜드평판 1위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십센치 미국 공연 취소…“욕심 앞선 일정” 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