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독도 개척한 전라도 사람들..호남대 '약무호남 시무독도'전

박준배 기자 2021. 10. 17. 15: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 후기부터 동해의 끝 섬인 경상북도 울릉도·독도를 배로 오가며 삶의 터전으로 삼고 지켜왔던 전라도인들의 삶을 추적한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박상철 호남대 총장은 "특별전은 호남대가 우리땅 독도 수호를 위해 15년 동안 기울여 온 노력의 결실이자, 구한말 울릉도 독도 개척에 나섰던 전라도 사람들의 행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전시"라며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는 후속 연구를 통해 전라도 사람들이 목숨을 건 항해를 통해 가꾸고 '독도'라는 섬 이름을 부여해 지켜 온 '우리 땅, 독도 수호'와 학술연구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일 송정역 2층서 개막..무빙툰·VR 등 온라인 전시 병행
배 건조 붕어톱, 개척 어민·어선, 독도경비대 사진·사료 전시
울릉도와 독도를 개척한 전라도 사람들 '약무호남 시무독도'전 안내 포스터.(호남대 제공)2021.10.17/뉴스1 © News1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조선 후기부터 동해의 끝 섬인 경상북도 울릉도·독도를 배로 오가며 삶의 터전으로 삼고 지켜왔던 전라도인들의 삶을 추적한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호남대는 '울릉도·독도를 개척한 전라도 사람들'을 주제로 '약무호남 시무독도(若無湖南 是無獨島) 2021특별전'을 20일 오전 11시 광주송정역 2층 전시실에서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일본 정부가 터무니없는 독도 영유권 주장을 노골화하고 있는 가운데 독도의 날(10월25일)을 맞아 전시를 마련했다.

호남대 대학혁신사업단과 인문사회과학연구소, 랄랄라스쿨. 독도수호대가 주관하고, 광주시교육청, 전라남도교육청, 고흥군, 광주관광재단, 전남관광재단, 광주전남기자협회, 코레일 광주송정역이 후원한다.

구한말 울릉도로 건너가 배를 건조한 목수가 사용한 것으로 전해지는 '붕어(거두)톱'과 1885년 거문도를 점령한 영국군이 촬영한 울릉도 개척민들로 추정되는 거문도 어부·어선 등 울릉도 개척민 관련 옛 사진이 최초 공개된다.

'호남대 약무호남 시무독도 2019 울릉도 독도탐방단'이 독도 환경정화 활동 중 독도 동도의 대한민국 영토표석 인근 해변에서 발견한 1950년대 독도경비대의 대검 사진 등 울릉도·독도 개척 전라도인들의 행적 등을 알 수 있는 각종 사료와 사진도 선보인다.

호남대 만화애니메이션학과 백종성 교수와 학생들은 구한말 전라도 고흥, 여수, 순천지역 어민들의 울릉도·독도 개척 과정 스토리를 무빙툰으로 제작해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는다.

붕어톱을 소장하고 있는 배 목수 신영길씨(80·고흥군 봉래면)는 "어릴 적에 할아버지로부터 고조부·증조부까지 모두 배 목수였으며 울릉도를 오가며 배를 짓는 일을 하셨다는 말씀을 자주 들었다"며 "할아버지께서 배 목수인 저에게 거두(붕어)톱을 물려주시며 '고조부·증조부님이 울릉도에서 배를 만들 때 사용하시던 톱'이라고 하시던 말씀을 또렷이 기억한다"고 말했다.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는 2006년 '우리땅, 독도수호특별전'을 시작으로 15년여 동안 전국 순회전시 등을 통해 '우리땅, 독도 바로 알기'와 '독도수호'에 앞장서왔다.

1882년 고종의 명으로 울릉도검찰사로 파견된 이규원(李圭元, 1890년~1945년)의 '울릉도검찰일기'에서 당시 울릉도 개척민 141명 중 81.5%인 115명이 고흥(흥양), 여수(흥해), 순천(낙안) 등 전라도 출신이었으며, 이들은 선박을 건조하고 미역, 해삼, 전복 등을 채취하는 어로활동 등을 하면서 실효적 지배를 했음을 밝힌 연구 자료를 2008년 학계와 언론에 발표했다.

또 '독도'라는 섬 이름도 당시 독도 인근 해역에서 조업을 하던 고흥 어민들이 고향 앞바다에 있는 수많은 '독(돌)섬'과 모양이 비슷하다 하여 '독섬'으로 부르기 시작했으며, 이후 한자식 표현인 석도(石島)-독도(獨島)로 변천했음을 알리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일본의 '무주지선점론'을 무력화시키는 근거로 제시하기도 했다.

이번 특별전은 온라인 전시 사이트를 통해 VR로 만나 볼 수 있다.

박상철 호남대 총장은 "특별전은 호남대가 우리땅 독도 수호를 위해 15년 동안 기울여 온 노력의 결실이자, 구한말 울릉도 독도 개척에 나섰던 전라도 사람들의 행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전시"라며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는 후속 연구를 통해 전라도 사람들이 목숨을 건 항해를 통해 가꾸고 '독도'라는 섬 이름을 부여해 지켜 온 '우리 땅, 독도 수호'와 학술연구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nofatejb@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