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녹색제품 사라더니..환경부 산하 기관 구매율 '저조'
【 앵커멘트 】 마트에서 장을 보다가 '녹색제품'이라고 적힌 상품, 보신 적 있으실 텐데요. 환경부가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녹색제품을 공공기관이 의무적으로 구매하는 법을 지난 2005년부터 시행 중이죠. 그런데 정작 환경부 산하 기관의 구매실적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권용범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 기자 】 대형마트의 녹색제품 진열 코너입니다.
녹색제품은 온실가스 발생을 최소화해 환경오염을 줄이는 제품으로, 생활용품과 산업제품 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 스탠딩 : 권용범 / 기자 - "현행 녹색제품구매법에 따르면 공공기관은 상품을 구매할 때,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녹색제품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합니다."
환경부가 지난 2005년부터 법을 시행했는데, 산하 공공기관 구매실적은 여전히 저조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워터웨이플러스 1.8%, 한국환경연구원 3.2%,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6% 등이었습니다.
공공기관 전체 평균 71.7%와 비교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입니다.
▶ 인터뷰(☎) :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관계자 - "녹색제품 자체에 대해 인지가 없는 상태에서 구매를 해서…. 다른 기관도 많이 낮거든요. 다 비슷비슷해요."
현행법상 녹색제품의 구매의무 조항만 있고 구매율과 위반 시 제재 규정은 없어 강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
▶ 인터뷰(☎) : 환경부 관계자 - "저희가 좀 모범을 보여야 되는데 (구매율이) 좀 낮다 그래서 저희가 소속 산하 기관만 특별교육을 시켰어요."
▶ 인터뷰 : 김성원 / 국민의힘 의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 "법을 만든 곳도, 구매의무를 규정한 곳도 환경부입니다. 산하 기관이 환경부의 정책을 따르지 않는 이 심각한 문제를 즉각 바로잡아야 합니다."
환경부의 좀 더 세밀한 법률 개정과 동시에 산하 공공기관에 대한 책임 있는 관리·감독이 필요해 보입니다.
MBN뉴스 권용범입니다. [dragontiger@mbn.co.kr]
영상취재 : 구민회·김준모·김영진 기자 영상편집 : 김혜영 그래픽 : 최진평
#MBN #환경부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의무 #국민의힘 #김성원의원 #권용범기자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지현 “동의 없는 성관계, 강간 아니면 무엇이냐”
- 일하기 싫어..."학교에 폭탄" 거짓 신고한 교사
- 대만에서 무슨 일?...'북극 한파'에 146명 사망 추정
- '항문성교 했나' 질문 삭제…동성애자 헌혈 제한 철폐
- 김건희 "저 아니면 尹 구제할 사람 없었을 것"
- 윤석열 시계, 중고 거래 플랫폼에 등장…최고 45만 원
- "작은 키 콤플렉스 있나" 푸틴, '키높이 구두' 착용
- 한강 다리 난간에 앉아 눈물 흘리던 20대, 결국…
- MB에 전화해 UAE 성과 공유한 윤 대통령 "역할 해달라"
- “무릎 꿇어야 하나” 러 군인 6,500여 명, 우크라 ‘핫라인’ 통해 항복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