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째 약 배달 안 돼"..'재택치료' 현장 목소리는?

박민규 기자 2021. 10. 15. 21: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한줄기 희망인 위드 코로나가 성공하려면 준비해야 할 게 많습니다. 특히 집에서 치료를 받는 재택치료는 핵심 가운데 하나입니다.

얼마나 준비가 되고 있는지 박민규 기자가 직접 점검해봤습니다.

[기자]

72살 임재선 씨는 얼마 전 재택치료를 끝냈습니다.

열흘을 집에서만 지냈습니다.

[임재선/재택치료 경험 : 며느리가 반찬을 해서 바깥에 놔줘서 그걸로 계속 먹고, 딸내미가 놓고 가면 그걸로 해 먹었어요.]

매일 체온과 산소포화도를 쟀습니다.

의료진과 통화도 했습니다.

[(숨이 차다거나 가슴이 아프다거나 그런 증상은 없으셨어요?) 네, 한 번도 없고요. 밥 잘 챙겨 먹었어요.]

이렇게 재택치료를 받는 사람은 전국에서 3천 2백명쯤 됩니다.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환자가 대상이라 응급 상황이 많지는 않습니다.

다만 빈틈은 있었습니다.

[유상아/서울대병원 재택치료지원센터 간호사 : 체온 측정할 수 있는 키트를 못 받은 분도 계시고 해서, 본인은 몸이 뜨겁다고 하시는데 진짜 열이 나고 있는지 확인이 안 되는 경우도 있고…]

정부가 재택치료자를 갑자기 확 늘린 탓입니다.

부담은 고스란히 일선 지자체와 병원 몫입니다.

[정혜진/서울대병원 재택치료지원센터 간호사 : 당장 환자는 약을 먹어야 하는데, 실제로 약은 2~3일째 배달이 안 되고. 보건소 직원이 처방전 타다가 약을 배달까지 해줘야 하는…]

환자가 더 늘면 이 부담도 커집니다.

전화만으론 정확한 진료가 어렵다는 한계도 있습니다.

그래서 필요한 게 통원치료입니다.

이걸 하는 단기진료센터는 전국에 두 곳 뿐입니다.

지금으로선 사실상 재택 또는 입원치료 둘 중 하나만 가능한 겁니다.

[홍기정/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전화 진료를 통해) 병원을 갈 거냐 아니냐 결정을 해드리지만 판단이 애매한 부분들이 발생하게 되거든요. 통원치료 방식으로 한 번 확인을 할 수 있다면 불필요한 입원을 줄이는…]

그러려면 감염 차단을 철저히 하고 일선 병원도 코로나 외래환자 받을 준비를 해야 합니다.

정부는 통원치료 준비를 시작했다지만, 재택치료 전국 확대 3주가 되도록 현장에 적용할 구체적인 지침은 다 만들지도 못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