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사실 공표 벌금 하한 없애자"..與 선거법 개정 추진

김수진 2021. 10. 15. 20: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서울 동작을)이 낙선 목적의 허위사실공표죄에 대해 벌금 하한을 없애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15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 의원 등 민주당 의원 32명은 지난 8일 허위사실공표죄의 처벌 규정을 수정한 공식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수진 등 민주 의원 32명 발의..'당선무효 회피' 여지

(서울=연합뉴스) 김수진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서울 동작을)이 낙선 목적의 허위사실공표죄에 대해 벌금 하한을 없애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입법이 현실화하면, 특정 후보를 떨어뜨리기 위해 허위정보를 퍼뜨리더라도 '당선 무효'를 피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일각에선 선거철의 허위사실 유포를 조장하는 입법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죄 (CG) [연합뉴스TV 제공]

15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 의원 등 민주당 의원 32명은 지난 8일 허위사실공표죄의 처벌 규정을 수정한 공식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상대 후보를 낙선시킬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공표하는 경우 '500만원 이상 3천만원 이하'인 현행 벌금규정을 '5천만원 이하'로 바꾸는 내용이다.

벌금액 상한선을 상향 조정하면서 하한선 조항을 아예 삭제하자는 것이다.

허위사실 유포 혐의가 인정되면 의원직 상실에 해당하는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받기 쉬운 법규정을 완화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이 의원은 "법관 재량으로 감량하더라도 최소 250만원 이상의 벌금형에 처할 수밖에 없다"며 "당락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경미한 허위사실 유포의 경우에도 당선무효형에 해당하는 선고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법안 제안 이유를 설명했다.

gogogo@yna.co.kr

☞ "엄마, 엄마"…불길 앞 무릎꿇고 기도한 딸 끝내 오열했다
☞ 제주 한 아파트 단지서 고등학생 추락사
☞ 논란의 심석희, 베이징올림픽 '롱 리스트' 포함…경기 뛰나
☞ 나르샤, 성인 여성 관객 타깃 '19금 쇼' 연출가 변신
☞ 대구구치소 수용 첫날 극단 선택, 병원 옮겨졌지만…
☞ "코로나 백신 탈모 신고 240건"…여성, 남성의 3배
☞ 다큐 촬영 중 친구살해 자백한 갑부…아내 살해 의혹도
☞ "불편한 듯 간신히 걸어"…법정서 공개된 정인양 모습
☞ "사랑해요 한국"…'친한파' 필리핀 장성, 군 최고위직 올랐다
☞ 거리에서 마스크 썼다고 주먹질?…미국 K팝 커버댄스팀 봉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