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군, 전통방식 벼베기 등 수확 재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함양군은 14일 2023년 국가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지리산 자락 마천 다랑이논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마천면 도마마을에서 벼베기 체험행사를 개최했다.
또 고단했던 삶의 현장을 복원해 차별화된 관광상품으로 발전시킬 계획으로 도마마을 다랑이논을 시범적으로 복원한 후 마천 의중마을 등 지리산 일대 다랑이논과 함께 2023년까지 국가중요농업유산에 등재할 계획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통방식 모내기 재현 후 5개월만, 벼베기도 전통방식으로
[더팩트ㅣ함양=이경구 기자] 함양군은 14일 2023년 국가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지리산 자락 마천 다랑이논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마천면 도마마을에서 벼베기 체험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서춘수 군수를 비롯해 주민협의체 위원과 도시민 체험 희망자 등 40여명이 참여해 전통방식의 벼베기 및 수확을 재현했다. 지리산 자락 마천 도마마을 다랑이논은 약 8㏊로 그 중 1㏊에 대해 지난 5월 모내기를 했다.
참석자들은 낫을 이용해 벼를 베고 볏단을 만들며 전통 탈곡기인 호롱이와 홀태를 이용해 벼 훝기 작업을 진행하는 등 전통방식 벼수확을 했다.
마천 다랑이논이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면 3년간 15억원의 지원을 받아 관광객 유입, 함양군 농산물 브랜드 가치 상승 등 유무형의 부가가치 창출과 향후 유산자원의 발굴·보전관리를 할 수 있다.
함양군은 도마마을 다랑이논은 대부분 밭으로 이용되고 있거나 휴경하고 있어 앞으로 복원사업을 통해 논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고단했던 삶의 현장을 복원해 차별화된 관광상품으로 발전시킬 계획으로 도마마을 다랑이논을 시범적으로 복원한 후 마천 의중마을 등 지리산 일대 다랑이논과 함께 2023년까지 국가중요농업유산에 등재할 계획이다.
hcmedia@tf.co.kr
저작권자 ⓒ 특종에 강한 더팩트 & tf.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이미경 CJ 부회장, 美 매체 선정 '글로벌 엔터 파워 여성 20인' 영예
- [단독] '극우집회' 한 번 갔다던 오세훈…검찰 "5번 가서 3번 연설"
- [단독] '화천대유에 수백억 투자' 킨앤파트너스, 우란재단과 기부금도 교환
- 스마트폰 이어 '손목 대결'…'갤럭시워치4' vs '애플워치7' 승자는?
- 본경선 초반 연대 움직임…洪·劉 vs 尹·元 구도 연출
- "캐스팅 만세"...김은희 작가의 이유있는 자신감, '지리산'(종합)
- 대어급 상장 기대감…KB증권, 올해 IPO 실적 1위 등극하나
- [나의 인생곡㊳] 정수라 '어느날 문득', "부를 때마다 울컥한 떨림"
- '당믿않' 최희서, 시사회·무대인사서 '무한 리스펙' 받은 이유
- '판사사찰 의혹' 윤석열 징계 취소소송 오늘 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