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하렴"..따오기 40마리, 우포늪 가을하늘로 4번째 비상(종합)

이정훈 2021. 10. 14. 15: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경부·문화재청·경남도·창녕군, 인공증식 따오기 4차 방사
현재까지 120마리 자연으로.."국민 관심과 사랑 높아지길"
창녕 따오기 힘찬 비상 (창녕=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14일 오후 경남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열린 '제4회 우포 따오기 야생방사' 행사에서 방사된 따오기가 힘차게 가을 하늘을 날고 있다. 2021.10.14 image@yna.co.kr

(창녕=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건강하게 잘 크렴" "잘 살아라" "힘들면 쉬었다 가도 된단다"

"하나둘 셋" 카운트다운과 함께 사육사가 방사장 문을 열자 따오기 10마리가 일제히 우리 밖으로 날개를 펄럭이며 힘차게 날아올랐다.

방사장을 벗어난 따오기들은 복원센터 주변을 한동안 맴돌다 우포늪 쪽으로 각각 흩어졌다.

환경부, 문화재청, 경남도, 경남 창녕군이 14일 우포늪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인공증식한 따오기 40마리를 자연으로 돌려보냈다.

따오기가 자연으로 돌아간 이 날은 음력 9월 9일 중양절이다.

홀수 중에서도 가장 큰 수가 두 번 겹쳐 옛날부터 길일로 여겨지는 날이다.

2019년부터 시작한 따오기 자연 방사는 이번이 4번째다.

창녕군은 우선 10마리를 이런 방식으로 날려 보냈다.

창녕군은 나머지 따오기 30마리는 방사장 문을 별도로 열어두고 며칠이 걸리더라도 스스로 날아가게 하는 방식을 택했다.

제4회 창녕 우포 따오기 야생방사 (창녕=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14일 오후 경남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열린 '제4회 우포 따오기 야생방사' 행사에서 방사된 따오기가 힘차게 가을 하늘을 날고 있다. 2021.10.14 image@yna.co.kr

이번 방사는 과거 3차례 방사와 좀 다르다.

창녕군은 지금까지 5월에 따오기를 자연으로 돌려보냈다.

10월 가을 방사는 처음이다.

창녕군은 따오기가 주로 겨울을 나려고 한반도 남쪽으로 날아온 점이 많았다는 과거 기록을 참고했다.

또 여름철 폐사율이 높았다는 모니터링 결과를 근거로 가을 방사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우리보다 먼저 따오기를 복원한 일본이 봄·가을 두 번 야생 방사를 하는 점도 참고했다.

풀어준 40마리 중에서 암컷이 24마리인 점도 특징이다.

창녕군은 이전까지 방사 때마다 자연 적응력이 높은 수컷을 더 많이 풀어줬다.

이번에는 야생에 적응한 수컷과 만나 새끼를 더 많이 낳도록 암컷 숫자를 늘렸다.

창녕군은 또 이전까지 따오기 모두에게 위치추적기(GPS)를 등 쪽에 달아 풀어줬다.

이번에는 20마리에게만 추적기를 달았다.

창녕군은 위치추적기가 교미를 방해하는 경우도 있어 이번 방사 때 일부 개체에만 위치추적기를 부착했다고 설명했다.

창녕군은 대신, 우리나라 국민 누구나 따오기 소재를 쉽게 제보하도록 모니터링 앱을 만들고, 명예 모니터링 요원이 따오기 위치를 파악하도록 했다.

'창녕 따오기' 가을 하늘 날다 (창녕=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14일 오후 경남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열린 '제4회 우포 따오기 야생방사' 행사에서 방사된 따오기가 힘차게 가을 하늘을 날고 있다. 2021.10.14 image@yna.co.kr

4번에 걸쳐 창녕군이 날려 보낸 따오기는 120마리.

창녕군은 이 중에서 31마리는 죽은 것을 확인했다.

김성진 우포따오기복원센터 박사는 "자연에 적응하지 못해 죽거나 수리부엉이, 참매 등 맹금류, 담비, 삵, 들개 등 포유류한테 잡아먹힌 따오기도 있다"고 말했다.

야생 방사는 3년째를 넘기면서 결실을 봤다.

방사한 암수가 짝을 맺어 따오기 2마리가 탄생했다.

2019년 자연으로 돌아가 이방면 모곡마을 나무에 둥지를 튼 2016년생 동갑내기 따오기 암수가 올해 4월 번식에 성공했다.

암컷 따오기가 낳은 알 2개에서 새끼 두 마리가 무사히 부화했다.

자연으로 돌아간 따오기 대부분은 우포늪을 중심으로 창녕군에 산다.

몇몇 따오기는 300㎞나 떨어진 강원도 영월군, 수십㎞ 떨어진 창원시, 진주시, 전북 남원시 등에서 관찰되기까지 했다.

'창녕 따오기' 자연으로 (창녕=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14일 오후 경남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열린 '제4회 우포 따오기 야생방사' 행사에서 방사된 따오기가 힘차게 가을 하늘을 날고 있다. 2021.10.14 image@yna.co.kr

따오기는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으로 시작하는 동요가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흔한 철새였다.

그러나 포획, 서식지 훼손 등으로 1970년대 우리나라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복원사업을 하는 지금도, 천연기념물 198호이자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생물일 정도로 개체 수가 여전히 적다.

경남도와 창녕군은 '환경올림픽'으로 불리는 2008년 람사르 총회를 유치한 것을 계기로 2006년부터 따오기 복원을 조심스럽게 추진했다.

중국이 한중정상회담 기념으로 2008년 따오기 4마리를 우리나라에 기증하면서 복원사업이 마침내 현실화했다.

낙동강 수계에 속한 국내 최대 내륙습지 우포늪은 따오기 복원에 적지다.

여기다 멸종위기종을 되살리겠다는 창녕군과 정부 의지가 맞아떨어졌다.

복원사업 최종 목표는 우리 땅 곳곳에서 따오기가 자연 정착하는 것이다.

따오기 복원사업을 일찍 시작한 중국은 따오기가 3천여 마리, 일본은 1천여 마리에 이른다.

우리나라는 방사한 따오기를 합쳐 400마리 수준까지 개체 수를 인공적으로 늘렸다.

창녕군은 일본 수준까지는 따오기 마릿수를 늘려 방사를 계속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김성진 박사는 "자연으로 돌아간 따오기가 스스로 번식해 멸종위기종을 벗어나는 것이 목표다"고 말했다.

한정우 창녕군수는 "야생 방사를 계속하면 따오기가 우리나라 전역에 흩어져 살아갈 가능성이 커진다"며 "따오기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래픽] 국내 멸종 42년 만에 따오기 야생부화 성공 경남 창녕군은 2019년 이방면 모곡마을에 방사한 따오기 암수가 2021년 4월 새끼 2마리를 부화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그래픽]

seaman@yna.co.kr

☞ 아들 집에서 손자 2명과 투신한 할아버지…도대체 왜?
☞ 살모사로 안되자 코브라까지…독사 풀어 아내 살해한 남편
☞ 동물원에 나타난 '전갈 신부'…전갈 수백마리 몸에 붙여
☞ 호랑이 우리에 들어간 개…먼저 이빨 보인 쪽은?
☞ 옛 여자친구 모텔서 살해하고 야산으로 간 남성 극단적선택
☞ 우리 은하 중앙서 "한번도 본적없는" 이상한 전파신호 포착
☞ 서울 동작구 아파트 43명 집단감염…'엘리베이터 감염' 추정
☞ 캡틴 노스코리아? 북한 전국체전에 낙하산 경기도!
☞ 무속신앙에 빠져 친모 나무둔기로 때려 숨지게 한 세자매
☞ '16살 소년공' 이재명 사진은 왜 흑백이 됐을까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