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헌 의원 "콘텐츠 분쟁조정 신청 증가..게임 부문이 90% 이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콘텐츠 수요가 늘어나며 뒤따라 폭증했던 콘텐츠 분쟁이 올해도 증가할 전망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상헌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조정 현황 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접수된 콘텐츠 분쟁 조정은 1만475건이다.
이상헌 의원실은 올해 8월에 이미 콘텐츠 분쟁 조정 신청이 만 건을 넘은 시점에서,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의 역할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한준 기자)콘텐츠 수요가 늘어나며 뒤따라 폭증했던 콘텐츠 분쟁이 올해도 증가할 전망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상헌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조정 현황 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접수된 콘텐츠 분쟁 조정은 1만475건이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802건 증가한 수치다.
분야별 콘텐츠 분쟁 조정 신청 비율은 대부분 작년과 비슷했다. 10,475건 중 게임이 9,504건으로 여전히 90% 이상을 차지했고, 그 뒤를 영상(365건), 지식정보(307건), 캐릭터(56건)가 뒤따랐다.
작년 대비 차이가 있는 부분은 게임사별 조정 신청 건수와 세부 유형별 비중이다. 게임사별 조정 신청 건수의 경우 작년에는 넥슨이 가장 많은 조정 신청을 받았지만, 올해는 블리자드가 1,545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 크래프톤(915건), 카카오게임즈(530건), 넥슨(457건), 데브시스터즈(250건)는 대부분 작년 대비 감소했다. 게임 분야 세부 유형별 비중에서는 결제취소/해지/해제와 미성년자 결제 등 결제 관련 분쟁 조정이 다소 감소했다.
콘텐츠 분쟁 조정 신청은 2016년 4천199건, 2017년 5천468건, 2018년 5천84건, 2019년 6천638건으로 지속해서 증가해왔다.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비대면 시대가 도래하며 1만7천202건으로 3배 가까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헌 의원실은 올해 8월에 이미 콘텐츠 분쟁 조정 신청이 만 건을 넘은 시점에서,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의 역할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조정 과정에서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의 비중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평균 1%를 밑돌았던 조정 성립 비율은 작년에 0.008%(9,673건 중 8건)로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올해에는 0.00019%로 단 2건만 최종 조정 성립에 성공했다.
이상헌 의원은 “차츰 나아지고는 있지만, 아직 비대면 생활이 언제 종식될지 알 수 없고 콘텐츠 분쟁 조정 규모는 더 커질 것이다. 이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의 개편이 시급하다.”라며, “올해 4월에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를 콘텐츠분쟁조정·중재위원회로 개편하여 중재 기능과 함께 집단분쟁조정 및 직권조정결정에 관한 기능을 전담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빠른 시일 내에 해당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한준 기자(khj1981@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상헌 의원, 국감 현장에서 게임 내 전통문화 활용 방안 강조
- 이상헌 의원 "확률형아이템 고집에 국내 게임업계 글로벌 고립"
- 이상헌 의원, 블록체인 게임의 미래 주제로 국회 토론회 개최
- 민주당 이상헌 의원, '게임 제도 개선을 위한 국회 정책 토론회' 개최
- 돌아온 이해진·물러난 김범수...네카오, 다른 패 꺼냈다
- [Q&AI] 경북 산불 엿새째…발화 원인·피해상황은
- SK하이닉스 "D램 시장 호전·HBM 성장세 지속 전망"
- 로봇이 車 조립하고 검사까지...현대차그룹 첨단공장 'HMGMA'
- [써보고서] 속 보이는 스마트폰 사볼까…낫싱 쓰리에이
- 가맹점 매출 79% 더본코리아...문제는 '폐점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