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가 신고해야 해서.." 은폐된 보육원 아동학대

김민정 기자 2021. 10. 14. 07: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위탁 운영하는 한 보육원에서 학대를 받았다며 성인이 된 보육원생들이 용기를 내 과거의 고통을 세상에 알리기 시작했습니다.

아동학대를 근절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지만 이런 일은 계속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벌어지는 은밀한 학대를 찾아내기 위해, 학대 흔적을 발견한 교사는 반드시 신고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학대 교사들과 보육원 재단을 상대로 정신적 피해에 대한 위자료 청구 소송을 결심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서울시가 위탁 운영하는 한 보육원에서 학대를 받았다며 성인이 된 보육원생들이 용기를 내 과거의 고통을 세상에 알리기 시작했습니다. 아동학대를 근절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지만 이런 일은 계속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김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세 사람은 갓난아기 때부터 서울시 한 위탁 보육원에서 자랐습니다.

각기 반이 달랐고 담당 교사도 달랐지만, 지속적 학대를 당한 기억만은 같습니다.

[A 씨 : (바닥) 쓸기 제대로 안 하면 쓰레기를 밥에 넣고 먹으라고 한다든가. 엄청 좁은 틈에 하루 종일 갇혀 있게 한다든가.]

[B 씨 : 미사가 끝나고 선생님이 선착순으로 뛰어오라는 거예요. 맨 마지막 사람은 또 엉덩이를 방망이로 때리고, 막 발로 차고….]

가정에서 벌어지는 은밀한 학대를 찾아내기 위해, 학대 흔적을 발견한 교사는 반드시 신고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하지만 보육원에선 교사가 부모이자 학대를 신고해야 할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학대는 쉽게 은폐됐습니다.

외부 기관이 조사를 나올 때도 있었지만, 그들에게 차마 고백하지 못했습니다.

보육원이 문을 닫는 게 더 두려웠기 때문입니다.

[B 씨 : 여기 있으면 그냥 맞을 텐데 또 다른 데는 가기 싫고. 친구들이랑 같이 생활을 했으니까. 어떻게 보면 다 가족이잖아요. 그래서 많이 울었던 것 같아요.]

이들은 얼마 전 성인이 돼 보육원을 나왔지만 좀처럼 상처는 아물지 않았습니다.

트라우마에 시달렸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까지 받았습니다.

학대 교사들과 보육원 재단을 상대로 정신적 피해에 대한 위자료 청구 소송을 결심했습니다.

스스로에 대한 치유를 위해서입니다.

[C 씨 : 어렸을 때 안 좋은 기억이 너무 많아서. 극복하고 싶어서….]

겨우 용기를 낸 이들의 소송을 돕기 위해, 시민단체 '정치하는엄마들'과 민변도 나섰습니다.

[B 씨 : 드디어 제가 처음으로 이렇게 도와주신 분들이 생긴 거잖아요. 용기가 생겨서 소송 준비도 하고 있고 (트라우마) 치료도 받고 있고.]   

김민정 기자compass@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