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물가 5.4%↑..공급망 붕괴, 장바구니 물가 끌어올렸다(종합)

김정남 2021. 10. 13. 22: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물가가 예상을 뛰어넘는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다.

올해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5.4%에 이르면서 13년여 만의 최고치로 치솟았다.

공급망 대란에 따른 기업 생산 비용 증가가 소비자 물가로 옮겨오고 있는 징후로 해석된다.

금융시장은 예상치를 웃돈 물가 지표에가 나오자, 위험 자산 회피 쪽으로 다소 기울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9월 CPI, 전년 동월 대비 5.4% 상승
시장 예상 5.3% 소폭 상회..근원 4.0%↑
휘발유, 식료품 등 장바구니 물가 폭등세
전기 대비 0.4% 상승..여전히 고공행진
연준에 쏠린 눈..긴축에 어떤 영향 미칠까
미국 메릴랜드주 주도 아나폴리스의 한 주유소에서 주유 대기 차량이 줄지어 서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제공)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국 물가가 예상을 뛰어넘는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다. 올해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5.4%에 이르면서 13년여 만의 최고치로 치솟았다. 특히 일상과 밀접한 에너지, 식료품 물가가 폭등했다. 이같은 고물가가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스케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식료품 등 장바구니 물가 확 뛰어

1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9월 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4%를 기록했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5.3%)를 소폭 웃돌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7월(5.5%) 이후 13년2개월 만의 최고치다. 최근 5개월 연속 5%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연준 정책 목표(2.0%)를 훌쩍 넘는 고물가가 추세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가장 높이 뛰어오른 건 에너지 분야다. 1년 전보다 24.8% 뛰었다. 특히 휘발유 가격은 1년새 무려 42.1% 치솟았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 안팎까지 오르면서 덩달아 상승했다. 식료품 가격 역시 큰 폭 올랐다. 육류·계란 물가는 1년새 10.5% 상승했다. 또 중고차와 트럭 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해 24.4% 폭등했다. CPI의 3분의1을 차지하는 주거 가격은 3.2% 상승했다.

전월 대비 CPI 상승률은 0.4%로 나타났다. 월가 전망치(0.3%)를 상회했다. 올해 6월 0.9%로 정점을 찍은 이후 0.5%(7월)→0.3%(8월)→0.4%(9월)로 0.5% 안팎을 기록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라는 평가다.

한 달 전과 비교해 가장 많이 뛴 품목 역시 에너지와 식료품이다. 에너지 분야는 1.3% 올랐다. 시리얼·빵(1.1%), 육류·계란(2.2%), 유제품(0.7%), 과일·채소(0.6%), 무알콜 음료(1.2%) 등 일상과 밀접한 장바구니 물가가 폭등했다. 공급망 대란에 따른 기업 생산 비용 증가가 소비자 물가로 옮겨오고 있는 징후로 해석된다. 다만 중고차 가격은 한 달 전보다 0.7% 하락하며 점차 안정화하는 기류다. 주거 물가는 0.4% 올랐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뛰었다. 시장 예상에 부합했다.

“생산비용 증가, 소비자에 전가돼”

이날 수치는 최근 전세계 공급망이 붕괴 수준에 이르며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있는 가운에 나와 주목된다. 기타 고피나스 국제통화기금(IM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전날 “우리는 매우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키우는 전세계 공급망 차질을 보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이어진다면 연방준비제도(Fed)를 포함한 중앙은행들은 통화 긴축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물류 대란, 원자재 부족, 임금 인상 등이 전방위적으로 맞물리면서 생산 비용을 끌어올리고 있다”며 “이 중 상당 부분이 소비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관심사는 이번 CPI가 연준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다. 연준은 11월 2~3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여는데, 이때부터 테이퍼링(채권 매입 축소)를 개시할지 시장의 이목이 쏠려 있다. 더 나아가 기준금리 인상의 힌트가 나올지 관심이 모아진다.

CNBC는 “(IMF 조언처럼) 중앙은행이 움직인다는 건 예상보다 빨리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걸 의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융시장은 예상치를 웃돈 물가 지표에가 나오자, 위험 자산 회피 쪽으로 다소 기울고 있다.

오전 9시50분 현재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27% 상승하고 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07% 내리고 있다. 반면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0.38% 뛰고 있다.

김정남 (jungki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