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버티는 자영업자' 2만2000명 증가

윤지원 기자 2021. 10. 13. 21: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9월 취업자, 전년 대비 67만명 ↑
7년6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 기록
고용원 둔 자영업자 4만8000명 ↓

지난달 취업자 수가 67만명 넘게 늘어나며 90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코로나19 타격이 컸던 숙박·음식과 같은 대면업종 고용도 개선됐다. 하지만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계속되면서 ‘나 홀로 사장님’도 증가했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68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7만1000명 늘었다. 2014년 3월(72만6000명) 이후 7년6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9월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고용 충격이 발생하기 이전 고점을 찍은 지난해 2월 수준의 99.8%까지 회복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 복지 서비스업에서 28만명, 운수 및 창고업 16만3000명, 교육서비스업에서 9만8000명 증가했다. 코로나19 거리 두기로 일자리가 줄었던 숙박 및 음식점(3만9000명)도 3개월 만에 첫 증가세를 보였다. 통계청은 국민지원금 지급과 백신 접종으로 외부 활동이 늘어난 것이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은 12만2000명 취업자가 감소했고, 제조업도 3만7000명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 32만3000명, 20대 20만2000명, 50대 12만4000명, 40대 1만8000명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30대는 1만2000명 감소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일용직 근로자 등은 여전히 코로나19 고용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51만5000명, 임시근로자는 34만명 증가했으나 일용근로자는 12만1000명 감소했다. 고용원이 없는 ‘나 홀로 사장님’인 자영업자는 2만2000명 증가한 반면,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4만8000명 감소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올해 안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취업자 수를 회복하고, 고용시장의 방역 불확실성을 덜어내겠다”고 밝혔다.

윤지원 기자 yjw@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