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 옷입고 운동하고 가슴 보이며 도수치료.."일상의 포르노화?'[영상]

김민혁 기자 2021. 10. 13. 21: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유튜브·틱톡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는 운동·건강 콘텐츠를 빙자한 노골적인 영상들이 성행하고 있다.

조회수 목적으로 자극적인 섬네일은 기본이고, 노출 의상을 입고 도수치료를 받거나 운동을 하는 영상이 꾸준히 만들어지고 있다.

그런가하면 구독자가 40만명에 육박하는 한 교정센터 유튜브 채널에서 도수 치료 영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실제로 유튜브에 '도수치료'를 검색해 보면 여성을 모델로 한 영상이 적지 않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

최근 유튜브·틱톡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는 운동·건강 콘텐츠를 빙자한 노골적인 영상들이 성행하고 있다. 조회수 목적으로 자극적인 섬네일은 기본이고, 노출 의상을 입고 도수치료를 받거나 운동을 하는 영상이 꾸준히 만들어지고 있다.

앞서 유튜브는 올해 본격적으로 ‘쇼츠’로 숏폼(짧은 분량) 시장에 뛰어들어 인기를 끌고 있다. 일부 유투버들의 경우 높은 수익을 목적으로 여성의 신체를 소재로 과도한 장난을 치거나 자극적인 제목과 썸네일을 뽑아 이용자의 관심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 8일 유튜버 워니는 유튜브에 ‘산스장에서 데드리프트를’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가 선정성 논란에 휩싸였다. 그는 가슴이 깊게 파인 상의와 몸에 딱 달라 붙는 짧은 반바지를 입고 몸매가 부각되는 자세를 연달아 취했다. 카메라는 특정 부위를 집중 조명하며 선정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유튜브 캡처

평소 올렸던 운동 영상과는 다를 바 없는 영상이었지만 운동 장소가 부산의 대표 역사공원인 수영사적공원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됐다. 수영사적공원은 임진왜란 당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한 의용군 25인의 넋을 기리기 위한 제단인 25의용단(부산 기념물 제12호)과 울릉도와 독도를 침탈한 왜인들을 몰아내고 일본으로 건너가 독도가 조선 땅임을 확약받고 돌아온 안용복 장군의 사당 등이 있다.

영상을 본 네티즌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역사공원은 추모와 존중이 우선시돼야 하는 공간인데 의상이 너무 선정적이라는 지적과 운동기구가 마련된 곳에서 운동을 한 것인데 민감한 반응이라는 의견이 맞섰다.

/유튜브 캡처

그런가하면 구독자가 40만명에 육박하는 한 교정센터 유튜브 채널에서 도수 치료 영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요즘 유튜브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도수 치료 채널들 수준'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말 그대로 엄연히 교정, 치료와 관련된 영상들인데 자극적인 섬네일로 엄청난 조회 수를 얻고 있다"며 "성희롱적인 댓글도 많다. 비단 이 채널뿐만 아니라 다른 도수 치료 채널 중에도 이런 곳이 많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딱 붙는 옷과 여자를 이용해 의료적인 부분을 성적으로 소비하는 게 정말 안 좋게 보인다"면서 "출연한 사람이 동의했다고 해도 치료를 빙자한 이런 섬네일은 유해하다고 본다"고 유튜브 사각지대의 현실에 대해 지적했다.

실제로 유튜브에 ‘도수치료’를 검색해 보면 여성을 모델로 한 영상이 적지 않다. 최근 올라온 영상 속에 도수 치료를 받는 대상은 대부분 여성이었다.

이를 본 네티즌들은 "누가 저런 옷을 입고 도수 치료를 받냐", "일상의 포르노화", "일부러 노리고 올렸다", "조회 수가 낳은 괴물", "이런 걸 왜 성적으로 소비하느냐", "도수 치료사들 얼굴에 먹칠하고 있네" 등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유튜브 정책에 따르면 ‘과도한 노출 및 성적인 콘텐츠에 대한 정책’은 성적 만족을 위한 음란물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음란물을 게시하면 콘텐츠가 삭제되거나 채널이 폐쇄될 수 있다고 적시돼 있다.

김민혁 기자 minegi@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