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우주시대 연다"..위성 대량생산체제 구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에게는 첫 민간 위성 개발이지만 한국 우주산업에는 위대한 도약이다.'
KAI 관계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차중 위성 2호를 옮겨온 후 고온·저온·진공 시험을 모두 마치고 분리충격 시험만 남아있다"며 "연말이면 위성 상태 점검은 끝난다"고 설명했다.
조립실이 완성되면 KAI는 대형 위성은 한 번에 6기, 중형은 10기, 소형은 20기를 동시 생산할 수 있다.
KAI는 양산형 위성 및 발사체 제작, 위성 서비스 사업 추진으로 우주사업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 조립·실험장 조성
소·중·대형 36기 동시생산 가능
내년 2호기 발사 전 막바지 점검
우주사업 매출 3년 단위 2배 늘어
"사업 초기 정부 지속적 지원 필요"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에게는 첫 민간 위성 개발이지만 한국 우주산업에는 위대한 도약이다.’
지난 8일 경남 사천 KAI 우주센터. 방진복과 방진모를 갖춰 입고 정전기 방지, 먼지 제거 과정까지 거친 뒤 위성검사실로 들어섰다. 높이 2.89m, 무게 약 500㎏인 KAI의 차세대 중형위성 2호가 당당히 서 있었다. KAI 관계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차중 위성 2호를 옮겨온 후 고온·저온·진공 시험을 모두 마치고 분리충격 시험만 남아있다”며 “연말이면 위성 상태 점검은 끝난다”고 설명했다.
차중 위성 2호는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 시대’를 여는 신호탄이다. 항우연 주도로 만든 1호기는 올 3월 성공적으로 발사됐고 2호기부터는 KAI가 설계부터 제작까지 총괄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발사가 목표다. KAI 우주센터는 3~5호기 개발·제작도 맡는다. ‘메이드 인 코리아’ 양산형 위성 생산기지로 발돋움 한다는 계획이다.
우주센터는 이를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2,644㎡(약 800평) 규모의 위성 조립실은 관련 장비를 들이고 구축하느라 바빠보였다. KAI 관계자는 “조립실이 완성되면 소·중·대형 위성을 한 장소에서 혼류 생산할 수 있게 된다”며 “어떤 위성 제작 주문이 들어와도 대량 양산이 가능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단일 위성 조립·시험장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라는 게 KAI 측 설명이다. 조립실이 완성되면 KAI는 대형 위성은 한 번에 6기, 중형은 10기, 소형은 20기를 동시 생산할 수 있다.
위성 전장품 제작도 양산화 작업에 돌입했다. 현재까지는 인쇄회로기판(PCB)에 반도체 칩을 올리고 납땜하는 작업을 100%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KAI 관계자는 “보드 하나를 제작하는데 숙련자 기준으로 2주 정도가 걸린다”며 “양산화 장비인 리플로우 솔더링을 활용할 경우 리드 타입이 70% 정도 줄어 3일이면 보드 제작이 끝난다”고 설명했다.
누리호의 추진제 탱크를 제작한 종포공장도 방문했다. 누리호는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한국형 발사체로 오는 21일 1차 발사를 앞두고 있다. 추진제 탱크는 엔진과 함께 발사체의 핵심 기술이다. 기술 이전이 불가능해 KAI가 수차례 실패 끝에 국산화에 성공했다.
KAI는 국내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의 선봉에 섰다. 한창헌 KAI 미래사업부문장은 “위성, 발사체 매출 규모는 3년 단위로 2배씩 성장하는 중이다”며 “3년 후에는 연간 2,000억~3,000억 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기업 중 우주 사업 연매출 최대 기업은 KAI다.
KAI는 양산형 위성 및 발사체 제작, 위성 서비스 사업 추진으로 우주사업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한 부문장은 “우주사업은 위성·발사체 제작이라는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시장 전환이 급격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위성은 임무 기준으로 관측·항법·통신 부문이 있는데 항법, 통신 부문에 도전해 위성 서비스 시장으로 영토를 확장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 지원이 담보돼야 한다. 한 부문장은 “위성, 발사체 사업은 긴 호흡을 가지고 진행되는 사업인데 1년 단위 예산과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여부에 따라 사업 실행 여부가 갈려 변동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민간 우주 사업 육성을 위해서는 긴 안목을 갖고 사업 계획 및 예산 집행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위성 서비스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 역할도 중요하다. 한 부문장은 “위성 제작, 납품만으로는 서비스 시장이 크는데 한계가 있다”며 “관측 위성을 예로 들면 정부가 1년에 몇 장의 위성 사진을 살 테니 민간업체에서 위성 제작과 운영까지 맡으라고 하는 방식이 자리잡길 바란다”고 말했다./사천=서종갑기자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암투병 논란' 최성봉, '후원금 돌려주겠다' 게시글은 삭제
- 정용진의 '현란한 웍질'…'31년간 먹은 탕수육 가짜' 극찬한 투수
- 현관문 앞에 놓인 타이어 4개…'반나절 동안 집서 감금됐어요'
- '방 하나 집이 4억이라니'…딸 집들이서 오열한 엄마 지금은
- '오징어게임’ 전세계 1억 1,100만가구 봤다…넷플릭스 역대 1위
- [코로나TMI] 부모가 재택치료 할 경우, 아이는 학교에 갈 수 있을까?
- '결혼생활 지옥' 이다영 남편, 팔에 새겨진 '문신' 의미는?
- 용진이형이 선택한 그 생수…7만병 팔렸다 [한입뉴스]
- 송가인·박세리 제치고…초대형 쇼핑행사 '광클절' 발탁 모델은 누구?
- 유럽서 멈춘 테슬라 모델3, 한국선 왜 자전거를 박았을까[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