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 2023년 전력·화합물 반도체 웨이퍼 1천만장 이상 생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는 2023년에는 세계 전력·화합물 반도체 제조시설(Fab·팹)에서 매월 웨이퍼 1천만장 규모 반도체를 생산할 전망이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13일 '전력 및 화합물 팹 보고서(Power & Compound Fab Report to 2024)'를 통해 2023년 200㎜ 웨이퍼 월간 생산량이 처음으로 1천만장을 넘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유혜진 기자)오는 2023년에는 세계 전력·화합물 반도체 제조시설(Fab·팹)에서 매월 웨이퍼 1천만장 규모 반도체를 생산할 전망이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13일 ‘전력 및 화합물 팹 보고서(Power & Compound Fab Report to 2024)’를 통해 2023년 200㎜ 웨이퍼 월간 생산량이 처음으로 1천만장을 넘을 것으로 내다봤다. 2023년 매월 1천24만장 만들고 2024년에는 1천60만장으로 생산량이 늘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해보다 올해 생산량이 7% 늘고 내년 6%, 2023년 5%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2023년까지 중국에서 생산량 33%를 책임질 것으로 SEMI는 전망했다. 이어 일본 17%, 유럽·중동 16%, 대만이 11% 차지할 것으로 봤다.
2024년까지 63개사가 매달 웨이퍼를 200만장 더 생산할 것으로 관측했다. 유럽 에스티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독일 인피니온, 중국 화홍반도체·실란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생산량을 크게 늘릴 것으로 기대했다.
전력·화합물 반도체 제조시설은 2024년까지 47개 더 가동하며 755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SEMI는 차량용 전자 제품 수요가 성장한다며 새로운 시설 투자가 발표되면 이번 전망치를 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SEMI는 2013년부터 2024년까지 12년 동안 운영되는 전력·화합물 반도체 생산시설 957개를 추적 조사해 전력 및 화합물 팹 보고서를 작성했다. 폐쇄됐거나 예정인 시설, 새롭게 지어질 시설도 포함했다.
유혜진 기자(langchemist@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더 비싸졌다" vs "부담 줄었다"…배달앱 상생안 놓고 충돌
- 엔비디아 '블랙웰'에 또 문제?…빅테크, AI 기술 고도화 '타격'
- 전세계 자국 중심 반도체 키우는데...韓 소부장, 정부 협상력 절실
- 지스타2024 끝, 출시 앞둔 신작 게임은
- CJ그룹 정기 임원인사...CJ주식회사 경영지원대표에 허민회
- 韓, 반도체 자율공장 표준 리더십 활동..."美·日 대비 부족해"
- 희비 엇갈린 정보보호 업계…"내년 실적 반등 기대"
- [써보고서] 머리카락 엉킴 걱정 끝…로보락 '큐레보 커브'
-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 R&D 단지 설비 반입식…"재도약 발판"
- "알람 한 번만 있었더라도"...온라인 중고사기에 네이버 카페 개선안 나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