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동산업계 버블 경고등..총부채 규모 5조달러 넘어

박종원 2021. 10. 12. 18: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헝다그룹(에버그란데) 부도 위기에 휩싸여있는 중국 부동산 업계가 총 5조2000억달러(약 6231조1600억원)의 부채를 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일(현지시간) 일본 금융업체 노무라 홀딩스 전문가들의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이 맞았던 역사상 가장 큰 부동산 호황이 마지막 단계로 접어들었으며 이 시기에 떠안은 부채가 5조달러가 넘는다고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년 새 두배.. 일본 GDP보다 커
헝다, 사실상 열흘 뒤 생사 판가름

【파이낸셜뉴스 베이징·서울=정지우 특파원, 박종원 기자】 헝다그룹(에버그란데) 부도 위기에 휩싸여있는 중국 부동산 업계가 총 5조2000억달러(약 6231조1600억원)의 부채를 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일(현지시간) 일본 금융업체 노무라 홀딩스 전문가들의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이 맞았던 역사상 가장 큰 부동산 호황이 마지막 단계로 접어들었으며 이 시기에 떠안은 부채가 5조달러가 넘는다고 보도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6월 기준 중국 개발업자들이 가진 부채는 5조2000억달러 수준이며, 이는 2016년 말과 비교하면 두 배로 늘어난 규모이다. 세계 3위의 경제국인 일본의 지난해 전체 경제 생산량보다 많다.

시작은 세계 부동산 개발 업체 중 가장 부채가 많은 헝다그룹에서 비롯됐다. 이들이 안고 있는 부채는 채권을 포함해 1조9665억위안(약 365조807억원) 상당이다. 아울러 판타지아 홀딩스 그룹은 이달 4일 만기가 도래한 2억600만 달러의 채권을 상환하지 못했다. 이와 별도로 판타지아의 자회사인 자산관리업체 컨트리가든서비스홀딩스도 같은 날 만기가 도래한 7억위안의 대출을 상환하지 못했다.

또 국제 신용평가 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신리 홀딩스가 오는 18일 만기가 도래한 2억4600만 달러의 채권을 상환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CNN에 따르면 중국의 부동산 업체 모던 랜드는 지난달 25일 기한이었던 2억5000만 달러의 채권 상환을 유예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부동산과 건설업은 중국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미국 하버드대의 케네스 로고프 교수와 중국 칭화대 양 유안첸 교수는 2020년 논문에서 부동산과 건설업이 중국 경제 전체의 29%를 차지한다고 추정했다. 이는 다른 많은 나라들보다 훨씬 많은 수준이다. 금융기관 데이터베이스인 무디스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중국의 총 은행 대출 28조8000억 달러 중 부동산 대출이 27%를 차지했다.

이처럼 부동산 공포가 커지자 영국 시장조사기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지난 6일 중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5%에서 3.6%로 하향 조정했다. 또 중국의 2022년 성장률은 5.8%에서 5.4%로 낮췄다.

헝다그룹은 이날 만기가 도래한 달러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다. 달러채권은 오는 30일 유예기간이 있어 당장 디폴트(채무불이행)는 피한 상태다. 다만 최초 달러채권 이자 유예가 오는 23일 끝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파산 가능 시점까지 10여일 밖에 남지 않게 된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헝다는 이날 만기인 달러채권 이자 1억4813만 달러(약 1776억원)를 갚지 않았다.

이로써 헝다가 지급을 미룬 이자는 △지난달 23일 달러채권(2022년 3월 만기)의 이자 8350만 달러(998억6600만원)와 위안화 채권(2025년 9월 만기) 이자 2억3200만 위안(430억7776만원) △같은 달 29일 달러채권(2024년 3월 만기)의 이자 4750만 달러(568억1000만원) 등을 포함해 4건으로 늘었다.

채권 보유자는 아직 헝다로부터 이자가 들어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헝다는 이와 관련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달러채권의 경우 30일간 유예기간을 두기 때문에 헝다가 곧바로 디폴트에 직면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헝다는 오는 19일 1218만달러, 30일 1425만달러, 11월8일 8249만달러, 12월28일 2억5220만달러 등의 달러채권 이자 만기를 줄줄이 앞두고 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