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우유값과 우윳값/어문부 전문기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깻잎.
'깨의 잎'을 우리는 이렇게 적는다.
우리말을 배우는 외국인들 가운데는 '깻잎'을 [깨십]이라고 하는 이들도 있다.
우리도 '깨잎'으로 적는 게 원칙이었다면 외국인들이 [깨십]이라고 발음하는 일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깻잎. ‘깨의 잎’을 우리는 이렇게 적는다. 그리고 [깬닙]이라고 발음한다. 상식처럼 여긴다. 북한에선 사이시옷을 빼고 ‘깨잎’이라고 표기한다. 그렇지만 발음은 우리처럼 [깬닙]이다. 북한에선 이게 상식이다. 북한은 우리와 달리 사이시옷 소리가 나는 현상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우리말을 배우는 외국인들 가운데는 ‘깻잎’을 [깨십]이라고 하는 이들도 있다. 엉뚱해 보일지 몰라도 우리가 ‘옷을’을 [오슬], ‘하늘이’를 [하느리]라고 발음하는 원리와 같다. 우리도 ‘깨잎’으로 적는 게 원칙이었다면 외국인들이 [깨십]이라고 발음하는 일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렇게 한다고 해도 사이시옷 적기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오랫동안 불편과 불만이 쌓여 있다.
‘깃발’, ‘바닷가’, ‘잇몸’, ‘햇살’을 ‘기발’, ‘바다가’, ‘이몸’, ‘해살’로 적으라고 하면 거부감이 클 게 뻔하다. 누구라도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 많은 이들이 원하는 것은 넣을 건 넣고, 뺄 건 빼도록 하자는 것 같다. 그런데 말처럼 쉽진 않다. 소리는 나는데 어떤 상황에서 사이시옷을 뺄지 기준을 정하기 어렵다. 발음이 다 같은 것도 아니다. 누구는 [망내똥생]으로, 누구는 [막내동생]으로 발음한다. 현재는 앞쪽을 기준으로 한 ‘막냇동생’이 규범 표기다. 다수가 거부감을 갖는다. 이렇게 적지 않을 방법이 없는 건 아니다. 맞춤법의 사이시옷 규정을 지우면 된다. 그러면 사전 편찬자들이 유연해질 수 있다. 언어 현실을 반영해 ‘막내동생’을 표제어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 언론매체들은 좀더 자유롭게 현실을 반영할 수 있다. 규정이 그렇더라도 언론매체들이 지나치게 규정을 따르려는 경향은 아쉽다. 언론매체는 규정을 넘어 현실적이고 새로운 가치를 반영해야 한다.
최근 우유 가격이 오르면서 언론매체에서 우유와 관련한 언급이 많았다. 규범 표기가 ‘우유값’일 것 같지만, ‘우윳값’이다. 이유는 ‘우유값’에서 ‘값’이 [깝]으로 소리 나기 때문이다. 정말 대부분 [우유깝]이라고 발음한다. 그렇지만 ‘우유병’은 [우유뼝]으로 소리 나더라도 ‘우윳병’으로 적지 않는 게 원칙이다. ‘우유병’(牛乳甁)이 모두 한자어로 이뤄져 있어서다. 일관성이 없다고 여기는 이들도 있겠다. 한자어 가운데 곳간(庫間)·셋방(貰房)·숫자(數字)·찻간(車間)·횟수(回數)·툇간(退間)은 또 예외여서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
서울신문은 ‘우유값’으로 표기한다. 규정과 상관없이 ‘우윳값’이 과도한 표기라고 판단했다. 어문 규정은 언어생활의 편리와 소통의 원활을 위한 것이다.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wlee@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치아 뽑고, 근친상간 지시.. 그 목사는 악마였다
- "김선호 폭로보며 용기"..박군 성추행 주장한 여가수
- 회식 자리에서 "팀장님 게이"..20대 여성 법정에
- "내 탓이다" 데이트폭력남 선처 바란 여친..항소심 결과는
- 이번엔 독서실 레깅스 논란.."일상복"vs"민망" [이슈픽]
- 한국 '오징어게임' 따라하는 중국, 재미없다는 일본
- "11월 출산 앞둔 고등학생 커플"..코로나19 확진 판정[이슈픽]
- "소개팅男에 성폭행 당했다" 주장 女..알고보니 먼저 "호텔 가자"
- "맨발로 자근자근 밟았다"..중국 양념공장 영상 또 퍼졌다
- 세상 떠난 친구 대신.. 폴 워커 딸 결혼 도운 빈 디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