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리더십을 발휘할 때다[기고/브렌던 하우]
브렌던 하우 이화여대 국제대학원장 2021. 10. 11.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반도, 홍콩, 대만은 물론이고 최근 아프가니스탄과 미얀마에 이르기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늘 강대국 간 경쟁이 첨예하게 부딪치는 격전지가 되고 있다.
강대국이 리더십을 발휘하지 않는 현 상황에서 한국 같은 중견국이 새롭고 온정적이며 인도적인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다면 모두가 더 나은 삶을 영위하는 발판이 될 것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홍콩, 대만은 물론이고 최근 아프가니스탄과 미얀마에 이르기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늘 강대국 간 경쟁이 첨예하게 부딪치는 격전지가 되고 있다. 이 문제의 상당 부분이 과거 다른 나라들과 각축전을 펼치던 내 조국 영국에서부터 시작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격렬해짐에 따라 주변국들은 어느 한쪽 편을 들어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 낀 지정학적 상황을 종종 ‘고래 틈에 낀 새우’라고 비유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현재 국제사회가 직면한 세 가지 주요 과제 즉, 코로나19 확산, 난민, 기후변화는 강대국이 대응하지 않거나 잘못된 대응을 하면서 더 악화했다. 미국과 중국은 세계적 온실가스 배출국임에도 기후변화 해결에 소홀하다는 비판을 종종 받고 있다. 강대국 간 경쟁 및 반(反)외교주의 시대가 도래한 상황은 오히려 한국처럼 국제사회에서 외교 기량을 발휘할 틈새를 엿보는 중견국에 상당한 기회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코로나19 종식 및 백신 외교 분야에서 한국이 할 일이 많다. 저개발국의 취약 계층에 보건 지원을 하는 것은 전 세계 코로나19 위험을 낮출 뿐 아니라 한국의 국제적 명성을 높이는 데도 일조할 것이다. 한국처럼 수출 및 교역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개별 국가의 코로나19 퇴치가 아니라 전 지구적 종식을 통해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은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중견국은 세계보건기구(WHO) 운영에도 지금보다 더 많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미국이 최대 기여국이지만 WHO 탈퇴를 시도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 행정부 때 확인했듯 더 이상 WHO가 미국만 바라볼 수 없는 형편이다. 이는 WHO가 중견국의 더 많은 지원을 절실히 바라는 이유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녹색성장 이니셔티브를 강조해 온 한국은 이 경험을 살려 기후변화 대응 또한 주도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이 온실가스 및 탄소 배출을 제한하면 한국 국민들 역시 더 깨끗한 공기를 마시며 쾌적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국은 더 많은 난민과 강제이주자에게 기회를 주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 인구절벽 위기를 타개할 수 있고 다문화주의의 긍정적 파급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아시아 최초로 난민법을 제정한 한국의 난민 수용률은 아직 약 4%에 불과하다.
강대국이 리더십을 발휘하지 않는 현 상황에서 한국 같은 중견국이 새롭고 온정적이며 인도적인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다면 모두가 더 나은 삶을 영위하는 발판이 될 것이다. 중견국 리더십은 강대국 리더십보다 덜 위협적이기에 국제사회가 수용하고 받아들이기도 쉽다.
올해 8월 필자는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최초의 외국인 원장으로 임명됐다. 이 자리에서 다른 시선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늘 고민하듯, 불과 반세기 전 국제사회의 원조를 받다가 선진국 대열에 합류한 한국 역시 국제사회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분명 더 많을 것이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현재 국제사회가 직면한 세 가지 주요 과제 즉, 코로나19 확산, 난민, 기후변화는 강대국이 대응하지 않거나 잘못된 대응을 하면서 더 악화했다. 미국과 중국은 세계적 온실가스 배출국임에도 기후변화 해결에 소홀하다는 비판을 종종 받고 있다. 강대국 간 경쟁 및 반(反)외교주의 시대가 도래한 상황은 오히려 한국처럼 국제사회에서 외교 기량을 발휘할 틈새를 엿보는 중견국에 상당한 기회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코로나19 종식 및 백신 외교 분야에서 한국이 할 일이 많다. 저개발국의 취약 계층에 보건 지원을 하는 것은 전 세계 코로나19 위험을 낮출 뿐 아니라 한국의 국제적 명성을 높이는 데도 일조할 것이다. 한국처럼 수출 및 교역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개별 국가의 코로나19 퇴치가 아니라 전 지구적 종식을 통해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은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중견국은 세계보건기구(WHO) 운영에도 지금보다 더 많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미국이 최대 기여국이지만 WHO 탈퇴를 시도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 행정부 때 확인했듯 더 이상 WHO가 미국만 바라볼 수 없는 형편이다. 이는 WHO가 중견국의 더 많은 지원을 절실히 바라는 이유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녹색성장 이니셔티브를 강조해 온 한국은 이 경험을 살려 기후변화 대응 또한 주도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이 온실가스 및 탄소 배출을 제한하면 한국 국민들 역시 더 깨끗한 공기를 마시며 쾌적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국은 더 많은 난민과 강제이주자에게 기회를 주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 인구절벽 위기를 타개할 수 있고 다문화주의의 긍정적 파급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아시아 최초로 난민법을 제정한 한국의 난민 수용률은 아직 약 4%에 불과하다.
강대국이 리더십을 발휘하지 않는 현 상황에서 한국 같은 중견국이 새롭고 온정적이며 인도적인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다면 모두가 더 나은 삶을 영위하는 발판이 될 것이다. 중견국 리더십은 강대국 리더십보다 덜 위협적이기에 국제사회가 수용하고 받아들이기도 쉽다.
올해 8월 필자는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최초의 외국인 원장으로 임명됐다. 이 자리에서 다른 시선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늘 고민하듯, 불과 반세기 전 국제사회의 원조를 받다가 선진국 대열에 합류한 한국 역시 국제사회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분명 더 많을 것이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브렌던 하우 이화여대 국제대학원장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단독]유원홀딩스, 화천대유측서 작년 35억 받아… 檢, ‘유동규 몫’ 700억원중 일부 수수 의심
- [단독]천화동인 1호… 정민용 “유동규 것” 김만배 “내 것” 檢 “제3자 가능성”
- [단독]“김만배, 2014년 판교PFV에 80억 투자도 의문”
- [단독]최윤길, 국회의원 상대 대장동 2억 로비도 관여
- 檢, 유동규 휴대전화 수색때 10m거리 CCTV도 제대로 안봐
- [단독]S社 부회장 ‘이재명 경제특보’ 행세… 李측근들 관련사 사외이사
- 3차선거인단 28% 대 62%, 與 “대장동 여파”… 이낙연 경선승복 안해
- 이재명, 소년공→변호사→경기지사… 2017년 경선 3위-4년뒤 ‘대선 재수’
- [천광암 칼럼]이재명·윤석열 의혹 지금 털어야 MB 다스 꼴 안 난다
- 구글 - 삼성 등 2023년부터 돈 번 국가에 세금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