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백주대낮'은 곧 '벌건 대낮'이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제 더 이상 이런 불법폭력이 백주대낮에 벌어지는 일이 없도록 개혁해야 합니다." 얼마 전 제1야당 원내대표가 국회 교섭단체 연설에서 이른바 강성 귀족노조로 알려진 노동단체를 비판하며 언급한 대목이다.
"백주대낮에 이런 시도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백주대낮에 버젖이 거짓말하다니." 그런데 막상 사전을 찾아보면 '백주대낮'이란 단어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니 '백주대낮'은 '역전앞' 같은 겹말에 해당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제 더 이상 이런 불법폭력이 백주대낮에 벌어지는 일이 없도록 개혁해야 합니다.” 얼마 전 제1야당 원내대표가 국회 교섭단체 연설에서 이른바 강성 귀족노조로 알려진 노동단체를 비판하며 언급한 대목이다. 정치는 우리 관심사가 아니다. 문장 안에 쓰인 ‘백주대낮’이란 표현이 익숙하면서도 어딘지 좀 어색하다. 그 까닭은 무엇일까?
‘백주대로’를 비틀어 ‘백주대낮’이라 말해
이 말을 꽤 자주 접한다. “백주대낮에 이런 시도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백주대낮에 버젖이 거짓말하다니….” 그런데 막상 사전을 찾아보면 ‘백주대낮’이란 단어는 보이지 않는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원래 ‘백주대로’란 말이 있는데, 이 말을 비틀어 변형된 형태로 쓴 것이기 때문이다.
실은 사전에 ‘백주대로’란 말도 없다. ‘백주’와 ‘대로’가 각각의 단어로 있을 뿐이다. 백주(白晝)란 ‘환히 밝은 낮’을 뜻한다. 순우리말로는 ‘대낮’이다. ‘백주의 강도 사건’ ‘술에 취해 백주에 대로를 활보한다’ 식으로 쓴다. 그러고 보면 주로 부정적인 문맥에서 쓰인다. 용례가 다 그렇다. ‘대로(大路)’는 말 그대로 크고 넓은 길이다. 고유어로 ‘큰길’이라고 한다. 이 두 말이 어울려 ‘백주 대로에…’ 같은 표현이 나왔다. 한 단어가 아니라서 붙여 쓰지 않고 띄어 쓴다. 당연히 사전 표제어에는 없고 각각의 단어가 따로 올라 있다.
그럼 왜 이 ‘백주 대로’가 ‘백주대낮’으로 바뀌어 나타날까? 고유어 ‘대낮’은 ‘환히 밝은 낮’을 뜻한다. 한자어 ‘백주’와 같은 말이다. 그러니 ‘백주대낮’은 ‘역전앞’ 같은 겹말에 해당한다. 글쓰기에서 새삼 겹말의 옳고 그름을 따질 필요는 없다. 중복 표현은 세계 어느 언어에서나 다 있고, 우리말에도 처갓집 고목나무 전선줄 해변가 등 단어로 인정돼 사전에 올라 있는 게 워낙 많다.
토박이말 ‘벌건 대낮’이 친숙하고 알기 쉬워
일반적으로 글쓰기에서는 ‘간결함’을 추구하기 때문에 ‘백주대낮’ 같은 중복 표현을 기피한다. 더구나 ‘백주대로’란 본래의, 온전한 표현이 있으니 이의 잘못이라고 보면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백주대낮’은 아예 쓰면 안 될 말일까?
겹말이 생겨나는 까닭을 생각하면 사람들이 왜 ‘백주대낮’을 자꾸 쓰는지 이해가 간다. ‘백주’라는 한자어 자체로는 어감을 충분히 전하기 힘드니 몸에 익숙한 고유어 ‘대낮’을 덧붙인 것이다. 한자를 잘 모르는 세대는 ‘백주(白晝)=대낮’이란 관계를 쉽게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역(逆)으로 ‘대낮’만을 쓰는 것도 뭔가 아쉽다고 느낄 수 있다. 여기에 강조 의미를 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덧붙여 쓰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나온 게 ‘백주대낮’이 아닐까 싶다.
순우리말 표현에 ‘벌건 대낮’이란 게 있다. 관용구 ‘벌건 거짓말’이 뻔히 드러날 만큼 터무니없는 거짓말(‘새빨간 거짓말’과 같은 말)이란 뜻인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벌건 대낮’은 환히 드러나는 밝은 낮이다. 그러니 대낮을 강조하고 싶다면 굳이 잉여적 표현인 ‘백주대낮’보다 ‘벌건 대낮’을 쓰면 된다. ‘백주대로’는 좀 무겁고, ‘백주대낮’은 틀린 말 시비가 있으니 ‘벌건 대낮’이라고 하면 딱이다.
우리말은 생각하기에 따라, 실천하기에 따라 얼마든지 우리 스스로 지키고 키워갈 수 있다. ‘백주대로’야 원래 있던 말이고, ‘백주대낮’도 조어법상 만들어 쓸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벌건 대낮’이란 우리 고유 표현을 쓰면 말맛도 살리고 우리말 어휘도 풍성하게 할 수 있으니 더욱 좋다.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회 충전 250km 달리는 전기차가 1000만원대…'인기 폭발'
- "은퇴한 60대들 모여라"…삼성 떠난 '상사맨' 결국 일 냈다
- '오징어게임' 참가인원의 두 배…지난해 성인 808명 사라졌다
- "그 정도로 안죽어" 구급차 불러달라는 아내 입에 발가락 넣어
- "한국 떡볶이 먹으러 왔다"…K편의점, 동남아 2030에 인기 폭발
- '금융맨♥' 강수정, 홍콩 부촌 사모님도 "달고나" 만들기…'오징어 게임' 탈락감 [TEN★]
- 김원희 "남편, 길거리 헌팅으로 만나…소개팅 못 해봤다" ('국제부부2')
- 서동주 "직장인 '썸남' 있다"…재혼 가능성 언급
- 겨드랑이 아픈 설현에 밤잠 설치는 소진까지…백신 후유증에 '골머리' [TEN스타필드]
- 이수만 홍콩 페이퍼컴퍼니 의혹에…SM "법적 대응"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