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 5G차량·사물통신 환경..핸드오버 보안기술 개발

권현수 기자 2021. 10. 4. 23: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순천향대학교는 최근 정보보호학과 유일선 교수(사진) 연구팀이 5G 차량·사물통신 환경에서 기지국 내 분산 장치(gNB-DU) 간 핸드오버의 잠재적인 보안 취약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한 연구성과를 거뒀다고 4일 밝혔다.

5G 차량·사물통신 환경에서 잦은 차량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기지국 내 분산 장치 간 핸드오버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순천향대학교는 최근 정보보호학과 유일선 교수(사진) 연구팀이 5G 차량·사물통신 환경에서 기지국 내 분산 장치(gNB-DU) 간 핸드오버의 잠재적인 보안 취약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한 연구성과를 거뒀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정보보호 핵심 원천 기술개발을 위한 '5G+ 서비스 안정성 보장을 위한 엣지 시큐리티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이뤄졌다.

5G 차량·사물통신 환경에서 잦은 차량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기지국 내 분산 장치 간 핸드오버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한 표준과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여기에 주목한 유 교수팀은 분산 장치 간 핸드오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보안 취약점 및 공격을 발견하고, 그 대응 방안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팀이 제안한 대응 방안은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 내 제어 장치의 신뢰를 기반으로, 분산 장치 간 안전하고 효율적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정형화 검증을 통해 그 유효성을 증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5G V2X에서 gNB-DU간 핸드오버를 위한 정형화 검증된 보안 체계(A Formally Verified Security Scheme for Inter-gNB-DU Handover in 5G Vehicle-to-Everything)'라는 제목으로 국제학술지 IEEE Access(JCR IF: 3.367754, Q2)에 게재됐다.

유 교수는 "5G 차량·사물통신 환경을 위한 핸드오버 보안 기술은 관련 표준과 연구가 전무한 상황을 고려할 때 중요한 선행 연구"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연구 결과를 발전시키고 5G 차량·사물통신 보안 분야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 교수는 지난 2015년 9월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100편 이상의 인터넷 보안 분야 SCIE 논문 발간, △영국 공학기술학회 석학회원 및 한국정보보호학회 상임이사 활동, △세계 정상급 전자·전기 국제 컨퍼런스인 ‘WAC(World Automation Congress) 2021 평생공로상 수상 등 정보보호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이끌며 그 업적을 인정받았다.

[관련기사]☞ 내 집앞 복도라 생수 쌓아놔도 된다?…"과태료 300만원 냅니다"'오징어 게임' 001번 오일남…30년전 반전 과거는?"엄마가 카메라 앞에서…" 야동으로 8억원 벌었다는 英 학부모안선영 "산악회 불륜 구별법, 뒤에서 '여보!' 소리 질렀을 때…"최고기·유깻잎, 이혼 후에도 파격 행보… "제발 다시"
권현수 기자 kdai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