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주 1.6% 오를때 중소형주 20% 껑충

여다정 2021. 10. 4. 19: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들어 주식시장에서 중소형주가 강세를 보이며 대형주 수익률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유가증권시장에서 대형주는 상위 1∼100위, 중형주는 상위 101위∼300위, 소형주는 나머지 종목이다.

올해 들어 지난 1일까지 코스닥 지수는 1.53% 올랐는데, 중형주(시총 101위∼400위)와 소형주(400위 미만)가 각각 3.70%, 10.63% 상승한 반면 대형주(1∼100위)는 2.49% 하락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박동욱기자 fufus@

올해 들어 주식시장에서 중소형주가 강세를 보이며 대형주 수익률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유가증권시장에서 대형주는 상위 1∼100위, 중형주는 상위 101위∼300위, 소형주는 나머지 종목이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첫 거래일인 1월 4일부터 10월 1일까지 코스피는 5.07% 상승했다. 그러나 시가총액 규모별 등락률은 희비가 엇갈렸다. 이 기간 대형주는 1.61% 오르는 데 그친 반면 중형주와 소형주는 각각 17.74%, 22.70% 상승했다.

특히 대형주 중에서도 삼성전자(-9.63%)를 비롯해 SK하이닉스(-15.61%), 셀트리온(-30.92%), LG생활건강(-17.84%), SK바이오팜(-40.24%), 엔씨소프트(-36.09%) 등 굵직한 종목의 낙폭이 두드러졌다.

반면 소형주에 속하는 일성건설(478.95%), 이스타코(476.07%), 코오롱플라스틱(368.82%) 등 소형주와 넥스트사이언스(418.52%), 효성첨단소재(381.21%) 등 중형주는 코스피 주가 상승률 상위권을 차지했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중소형주 강세가 뚜렷했다. 올해 들어 지난 1일까지 코스닥 지수는 1.53% 올랐는데, 중형주(시총 101위∼400위)와 소형주(400위 미만)가 각각 3.70%, 10.63% 상승한 반면 대형주(1∼100위)는 2.49% 하락했다.

연초 상승장의 주인공은 대형주였으나, 코스피가 대형주를 중심으로 박스권에서 횡보하는 동안 투자 수익률을 기대하는 매수세가 중소형주로 옮겨가는 순환매가 나타났다.

여기에 대형 플랫폼 기업들을 겨냥한 규제 이슈 등도 떠오르며 이미 주가가 많이 오른 대형주의 추가 상승 여력이 제한되고 중소형주에 힘이 실린 것으로 분석된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대형주가 힘을 받기엔 어려운 환경"이라며 "이익 모멘텀이 강하지 않으며 각종 규제 이슈, 외국인 수급 약화 등이 대형주에 불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소형주는 2차전지를 중심으로 이익 추정치가 상향되고 있다"며 "규제 이슈와 외국인 순매도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주가 상승 여력도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여다정기자 yeopo@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