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걸린다던 의성 쓰레기산은 어떻게 20개월만에 사라졌나
[편집자주]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가 골머리를 앓고 있는 쓰레기 문제. 시멘트산업이 그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쓰레기를 연료나 부재료로 활용하는 기술을 도입하면서다. 산림 훼손을 줄이면서 쓰레기도 처리하는 '두마리 토끼'를 잡는 시멘트산업의 역할과 육성방안을 모색해본다.
#. CNN은 2019년 경북 의성군에 위치한 쓰레기산을 보도하면서 '세계 최대 수준의 플라스틱 소비국의 단면'이라고 했다. 불법폐기물은 20만8000톤, 5층 건물과 비슷한 15m 높이까지 쌓이면서 악취와 가스, 침출수가 문제가 됐다. 특히 2018년 12월초 처음 발생한 화재는 쓰레기산에서 자연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이듬해 1월까지 이어지기도 했다.
15톤 덤프트럭 1만3867대, 처리하는데 7년이 걸린다는 의성 쓰레기산이 1년반만에 자취를 감춘 배경엔 시멘트업의 쓰레기 재활용 비중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시멘트업계와 의성군에 따르면 의성 쓰레기산은 본격 제거작업에 들어간 지 20개월만인 지난 2월 자취를 감췄다. 처리비용은 당초 예상치 520억원보다 감소한 282억원이 들었다.
국내 7개 주요 시멘트업체들의 역할이 컸다. 이들은 환경부와 의성군의 요청에 따라 시멘트 제조 때 필요한 유연탄 대신 의성 불법폐기물을 보조연료로 활용했다. 처리량은 9만5000톤으로 의성 쓰레기산 폐기물의 45.8%를 차지했다. 소각이나 매립된 쓰레기 29.4%보다 많은 비중이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의 '연내 처리' 지시까지 나온 상황에서 정부와 지자체는 의성 쓰레기산 처리를 두고 난관에 봉착했다. 소각로 처리용량은 임계점에 도달해 있고 님비현상(Not In My Back Yard)으로 신규 소각시설 설치 계획이 답보상태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멘트업계가 구원투수로 나선 것이다. 의성군은 처리기간을 7년으로 예상했지만 시멘트업계가 쓰레기를 대폭 소화하면서 1년 반으로 앞당길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쓰레기 처리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과제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235곳에 120만톤 규모의 쓰레기더미가 방치돼 있다.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온라인 소비와 배달음식 주문이 급증하면서 1회용기로 쓰인 플라스틱 쓰레기도 동반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국내 1인당 연간 플라스틱 포장재 소비랑은 67.4kg으로 벨기에에 이어 2위다.
배출량은 급증하는데 비해 처리 문제는 더 커졌다. 국제협약인 바젤협약 개정안이 올해부터 발효되면서 중국,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세계 주요 쓰레기 수입국이 폐플라스틱 반입을 중단했다.
국내 상황도 심각하다. 인천시가 세계에서 6번째로 큰 서구 쓰레기매립지를 2025년까지만 운영하기로 하면서 수도권 쓰레기 대란이 가시권으로 들어왔다. 인천 서구 쓰레기 매립지는 전국 쓰레기의 30%가량을 소화해왔다. 신규 매립지 조성에 4년 정도가 소요될 전망인데 아직까지 대체 부지를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다.
소각장 신설도 난항이다.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 자원순환센터 소삭장 현대화와 광역화는 계획이 어려움을 겪고 있고 경기도 광주시 소각시설 계획은 주민들이 행정소송을 제기하며 반대하고 있다. 지방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전남 순천시 구상·건천마을 쓰레기 매립장 후보지는 주민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다.
방문단이 관심을 보인 시설은 삼표시멘트가 20억원을 투입해 삼척시에 기부한 생활폐기물 연료화 전처리시설이다. 이들은 선별한 생활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시멘트 제조용 연료로 사용하는 공정을 시찰했다.
시찰 후 강 교수는 지난달 한국정책학회가 주관한 미래환경포럼에서 플라스틱 환경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시멘트산업의 역할을 강조했다. 강 교수는 "환경적으로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가장 적합한 기술이 바로 시멘트 제조공정"이라며 "순환경제 고리 안에서 시멘트 킬른(소성로)을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환경연료화를 완성한다면 플라스틱 문제의 확실한 해결책이자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럼에 참석한 정장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사도 "코로나19로 폐플라스틱과 폐비닐이 증가하면서 환경문제가 심각했지만 시멘트업계 덕분에 최악의 상황을 모면했다"며 "발연성이 좋고 소각재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등 2차 오염이 없는 것은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축구 국대' 홍철 여친 "10명 넘는 여성과 바람, 성병 걸려" 폭로 - 머니투데이
- "집값 올리기 못 버티면 탈락"…'오징어게임'으로 文정부 풍자 - 머니투데이
- 헨리, 中 국경절 축하하더니…마스크에도 "워 아이 니 중국" - 머니투데이
- 男 사주는 밥 먹으며 시종 웃었던 女…후에 "서비스 했던 하루" - 머니투데이
- 엄마 납치·살해된 집에 사는 무속인 딸…서장훈·이수근 "이사해라" - 머니투데이
- 트리플스타 녹취록 욕설난무…"난 X신 쓰레기, 걸리지 말았어야" - 머니투데이
- 게스트 태도에 화나 '녹화 중단시킨' 유명 MC…정형돈 목격담 - 머니투데이
- "예약 손님만 받아" 방이 무려 31개…강남 유흥주점 소파 들췄더니[영상] - 머니투데이
- 젤렌스키 "북한군과 며칠 내 교전 예상…韓 방공시스템 원해" - 머니투데이
- 최윤범의 유증 승부수…하루만에 경영권 분쟁 '최대변수'로 - 머니투데이